![](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1/11/20220111092249322063.jpg)
1일 부산항 신항 4부두에서 23만t급 HMM 로테르담호가 수출화물을 선적하고 있다. 수출화물과 환적화물을 가득 실은 HMM 로테르담호는 이날 부산항 신항에서 국적 원양 선박으로 처음으로 출항했다. [사진=연합뉴스]
올해 1월 1일부터 10일까지 수출 금액이 1년 전보다 20% 이상 늘었다. 다만 수입도 함께 늘어 무역수지는 적자폭이 더 커졌다.
관세청은 지난 1∼10일 수출액(통관기준 잠정치)이 139억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4.4% 늘었다고 11일 밝혔다. 늘어난 금액은 27억4000만달러다.
조업일수를 고려하지 않은 기준으로 주요 품목별 수출액을 보면 반도체(23.3%), 석유제품(135.3%), 승용차(26.2%), 정밀기기(29.2%) 등의 수출액이 작년보다 늘었다. 반면 무선통신기기(-51.0%) 등의 수출은 줄었다.
상대국별로는 중국(22.6%), 미국(35.1%), 베트남(17.3%), 유럽연합(3.8%) 등 주요 국가로의 수출이 대부분 늘었다. 홍콩만 23.4%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월간 수출액 추이를 살펴보면 2020년 11월부터 지난달까지 14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다. 다만 증가율은 점차 둔화되는 분위기다. 지난달 수출액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18.3%로 작년 10월(24.2%), 11월(32.0%)보다 둔화했다.
이달 1일부터 10일까지 수입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57.1%(68억6000만달러) 증가한 189억달러로 집계됐다. 품목별 수입액을 보면 가스(392.5%), 원유(79.9%), 반도체(28.4%), 석유제품(149.8%) 등은 늘었다. 반면 무선통신기기(-42.5%) 등은 줄었다.
이 기간 무역수지 적자는 49억4500만달러를 기록했다. 1년 전보다 적자 폭이 커졌다. 작년 같은 기간에는 무역수지가 8억1600만달러 적자였다.
무역수지는 지난달 20개월 만에 적자로 전환했다. 내수 회복과 수출 호조로 중간재·자본재 수입이 늘어난 데다 석유 등 에너지 가격 상승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