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1/06/20220106111432213752.jpg)
서울시청.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서울시가 선심성 포퓰리즘 정책을 남발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오는 3월 치르는 대통령 선거와 6월 지방선거라는 정치적 빅 이벤트를 의식해 젊은 층을 겨냥한 표심 공략이 아니냐는 것이다.
6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는 새해로 접어든 지 닷새 만에 각 부서에서 선심성 정책을 잇따라 내놨다.
지난해에는 △줌마네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한국여성민우회 성폭력상담소 △함께 걸음의료복지 사회적협동조합 등 4개 시민단체가 이 사업에 선정돼 사업비를 지원받았다.
서울시는 앞서 지난 4일에는 초등학교 신입생에게 입학준비금 20만원을 지원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입학준비금은 거주지, 등록지와 상관없이 서울에 있는 초등학교에 입학하기만 하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입학준비금은 총 140억여 원이다. 서울시는 이 준비금을 서울시와 자치구, 서울시교육청이 3대 3대 4 비율로 분담해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특수학교를 포함한 서울 국공립·사립초교 입학 대상자 7만명이다. 이들 어린이를 선거용 유권자 수라고 가정해 보면 어린이들의 부모 연령으로 볼 수 있는 30·40대는 대략 14만명. 민주당 측이 올해 치를 선거를 앞두고 부모들 표심을 적극 공략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여야 간 서울시 선거 지형은 국민의힘 후보로 시장에 당선된 오세훈 시장을 빼면 서울시의회와 25개 자치구 대부분을 더불어민주당이 장악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