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5/10/20210510085752469724.jpg)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신테카바이오 주가가 상승세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0시 6분 기준 신테카바이오는 전일 대비 11.96%(1800원) 상승한 1만68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17일 신테카바이오는 '2022 JP모간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합성신약 후보물질 발굴 플랫폼 '딥매처'와 신생항원 예측 플랫폼 '네오에이알에스' 등 주력 AI 플랫폼을 소개할 예정이다.
또 1대1 파트너링 미팅을 통해 AI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공동 연구개발 기회를 도모하고 파트너십 확장에 나설 예정이다.
정종선 대표는 "4년 연속으로 초청된 요인으로 당사의 AI 신약개발 기술력 및 미래 가치가 반영되었다고 생각한다. 신약후보물질 사업화 및 글로벌 비즈니스 추진을 위해 미국법인까지 설립한 만큼, 이번 파트너링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글로벌 협력 기회를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7일 신테카바이오가 발굴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STB-C017'의 동물실험 결과가 면역학 분야에서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 '온코이뮤놀로지'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STB-C017이 대장암 세포주가 이식된 쥐 모델에 단독으로 경구 투여됐을 때 암 세포를 공격하는 면역세포인 'CD8+ T세포'의 종양 침윤이 증가했으며 면역 관련 유전자 발현 패턴의 변화가 유발됐다.
또 STB-C017은 면역관문억제제 2종과 병용 투여되었을 때 종양의 면역 환경을 개선시키고, 투여 받은 쥐 중에서 60% 이상에서 완전관해를 유발시켜 면역관문억제제와의 병용 치료제로써의 잠재력을 보였다.
회사 관계자는 "STB-C017이 동물모델에서 주목할 만한 효과를 나타낸 것은 자사의 AI 플랫폼인 딥매처의 성능 및 경쟁력을 보여준 사례"라고 말했다.
이어 "STB-C017 발굴 이후에도 딥매처는 더욱 고도화되었고, 고성능 슈퍼컴퓨팅 인프라까지 확장하며 AI 신약후보물질 발굴 과제를 다수 진행 중이다. 신테카바이오는 앞으로 빠른 속도로 공동 파이프라인 구축 및 자체 파이프라인을 확보하는 데 전력을 다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