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FOMC] "인플레이션도 고용만큼 중요하다"...매파로 '확' 돌아선 파월과 연준

2021-12-16 10:55
  • 글자크기 설정

테이퍼링 속도 2배 확대·내년 3회까지 금리인상 예상

"추가 경제 지원 필요 없다"...대차대조표 축소도 언급

미국의 통화정책 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12월 정례회의가 마무리된 가운데,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장 매파(긴축 정책 선호 성향)적인 입장으로 돌아섰다. 

15일(현지시간) 연준은 이틀 간의 FOMC 회의 이후 발표한 성명에서 연방기금(FF) 금리 목표치를 기존의 0~0.25%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하고 "모든 정책 도구를 사용해 완전 고용과 물가 안정이라는 목표를 촉진할 것"을 약속했다. 연준은 "FOMC 위원회가 완전 고용(실업률 4% 이하)과 장기적으로 2%의 물가 수준을 달성하는 것을 추구한다"면서 향후 물가 상승세(인플레이션)와 코로나19 추가 확산세가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 [사진=AFP·연합뉴스]

◆인플레이션 평가 엄중해져...사라진 '일시적' 표현
성명은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과 경제 재개로 인한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 상태가 높은 수준의 물가 상승률에 계속 기여하고 있다"면서 "백신 접종률 확대와 공급 제약의 완화가 경제 활동과 고용은 계속 증가하도록 지원하고 인플레이션은 하락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연준은 이번 성명에서 인플레이션 상황에 대해 기존의 '일시적(transitory)'이란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 연준은 지난해 12월 인플레이션에 대해 '일시적'이란 표현을 처음으로 사용했고, 이후 올해 4월부터 매월 FOMC 회의 성명에 이를 포함해왔다. 최근 해당 표현의 사용 빈도는 줄었지만, 이전까지 '일시적 인플레이션'이란 공식 평가를 포기하진 않았다. 

이와 관련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도 '인플레이션이 노동 시장 회복세만큼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변화를 보였다. 앞서 그는 이달 초 상원 청문회에 출석해서도 인플레이션에 대한 '일시적' 표현을 포기하겠다는 입장을 암시한 바 있다. 

이날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더 지속할 수 있고, 더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고착할 실제적인 위험도 증가했다"면서 "우리(미국 경제)에게 필요한 것은 또 다른 장기 확장이며, 이를 위해서는 '물가 안정'을 유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연준은 최근 몇 달 간 고용 증가세(11월 실업률 4.2%)가 견조했고 미국의 경제 활동이 계속 강화되고 있다면서도,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B.1.1.529·오미크론) 확산의 잠재적 위험성을 경계했다. 
 
◆테이퍼링 속도 2배로...내년 3차례 금리인상 가능성도 
한편, 12월 FOMC 회의는 지난달 개시한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속도를 가속화하기로 했다. 이날 성명은 "위원회가 (내년) 1월부터 매달 (미국) 국채와 주택담보부증권(MBS)의 매입량을 각각 200억 달러와 100억 달러씩 줄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내년 1월부터 연준의 자산 매입 축소량은 두 배로 늘어났다. 앞서 11월 FOMC 정례회의 당시 연준이 테이퍼링을 개시하며 제시했던 축소 규모는 11월 말과 12월 초 두 차례에 걸쳐 150억 달러(국채 100억 달러, MBS 50억 달러)씩이었다. 이에 따라, 연준의 테이퍼링 종료 시점도 종전 내년 6월에서 내년 3월로 앞당겨졌다. 테이퍼링을 마칠 경우 연준이 금융시장을 지원하기 위한 추가 자산 매입량은 0이 된다.  
 

12월 점도표. [사진=연방준비제도(Fed·연준)]


또한, FOMC 위원들은 기준 금리를 현재의 '제로 금리(0.00~0.25%)' 수준으로 동결했지만, 별도로 공개한 점도표는 내년 최소 3차례 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점도표란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를 일컫는다. 점도표에 따르면, 18명의 FOMC 위원 중 10명이 내년 0.88~1.12% 수준의 금리 인상을 예상했고, 5명은 0.63~0.87%를 전망했다. 최대 예상치는 내년 말 2.125%수준이었다. 

이는 지난 9월 점도표와 비교했을 때, 급격한 변화를 보인 것이다. 당시 최대 금리 예상치는 1.625%였으며, 18명의 위원 중 9명이 내년 1회, 0.13~0.37% 수준의 금리 인상을 예상했다. 이보다 앞선 6월 FOMC에선 대다수의 위원들이 미국의 첫 금리 인상 시기를 내후년인 2023으로 내다보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파월 의장은 "테이퍼링이 끝나기 전에 금리를 인상하는 것을 예상하고 있지 않다. 테이퍼링과 금리인상은 별개라고 말하고 싶다"면서도 "현재 (미국) 경제는 강하며, 더 이상 (통화) 정책 지원을 늘릴 필요가 없다. 둘(테이퍼링과 금리 인상) 사이에는 큰 시간이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내년 5~6월 FOMC에서 연준이 첫 금리 인상을 발표할 가능성이 점쳐지는 대목이다. 
 
◆긴축 시기 앞당길까?...'대차대조표 축소' 첫 언급
특히, 파월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대차대조표 축소도 언급해 이목을 끌었다. 그는 "이번 회의에서 (대차대조표 축소에 관한) 첫 번째 논의를 했다"면서 "다만, 아무 것도 정하지는 않았으며 다음 회의와 그 다음 자리에서 추가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과거 우리(연준)가 어떻게 했는지 되돌아 본 것은 흥미롭고 유익했지만, 일부 위원은 지금은 그때 상황이 다르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부연했다.  

연준이 시중의 유동성 흡수를 중단하고 보유 자산을 줄이는 대차대조표 축소 방안은 기준 금리 인상 후 이어지는 통화정책의 수순이다. 테이퍼링이 통화 완화 정책을 정상화하는 것이라면, 대차대조표 축소는 통화 긴축 정책을 시작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가장 최근 연준의 대차대조표 축소 사례는 2016년 1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총 4차례에 걸쳐 금리를 인상한 후, 같은 해 7월 대차대조표 축소를 예고하고 9월 단행했다. 

한편, 이날 연준은 별도의 경제 전망에서 미국의 경제 성장률을 올해 5.5%, 내년 4%로, 내년 말 물가 상승률(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과 실업률은 각각 2.6%(9월 2.2%)와 3.5%(3.8%)로 수정했다. 특히, 물가 상승률의 경우 2023년과 2024년에도 각각 2.3%와 2.1%로 예상돼, 연준의 목표치인 2% 달성은 이 이후가 될 것으로 풀이된다. 
 

과거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모습. [사진=미국 연방준비제도(Fed)]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