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전문가의 의견을 인용해 "북한 관료들이 정권을 중국에 의존하는 일을 대단히 불편하게 여긴다"면서 "(북한 당국은) 정권의 장기 존속의 측면에서 이(중국에 대한 의존)를 핵심 위협(the principal threat)으로 본다"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 정책연구소인 스팀슨센터의 윤선 중국담당국장(선임연구원)은 "북한에는 '일본은 100년의 적이지만, 중국은 1000년의 적'이라는 말이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 당국이 중국을 신뢰하지 않으며 미·중 갈등(체제 경쟁)을 정권 생존을 위한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례로 앞서 김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비핵화 협상이 중국 당국에 '북한이 중국의 보호를 포기한다'는 두려움을 불러왔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중국이 김 위원장을 포기할 가능성은 없기 때문에, 미·중 경쟁은 김정은 정권의 존속에 도움이 된다"면서 "다만 중국은 북한이 '굶어죽지 않을 정도'로 최소한의 조치만 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란코프 교수는 "중국 당국은 한반도에 대해 안정, 분열, 비핵화라는 세 가지 우선 순위를 갖고 있다"면서 "이 중에서도 안정과 분단이 최우선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란코프 교수는 북한 당국이 앞서 1950~1953년 6·25전쟁 당시 중국의 개입에 오히려 두려움을 가졌다고 지적했다. 대규모 병력을 파병한 중국이 북한에 침투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당시 김일성 북한 주석은 1950년대 말 북한 내 모든 중국 병력을 철수시켰을 뿐 아니라, 중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던 인사도 모두 숙청했다는 것이다.
또한 란코프 교수는 김일성 주석이 과거 자신이 중국 공산당 당원으로 활동했던 내역을 은폐하고 70여쪽에 달하는 6·25전쟁에 대한 공식 역사 기록에서 중국의 참전 기록을 단 3쪽으로 축소하는 등 '중국에 대한 부채'를 인정하기를 거부했다고도 부연했다.
특히 신문은 과거 1992년 중국이 일방적으로 한국(남한) 정부와의 국교를 정상화한 것을 북한 당국은 '큰 배신'으로 여긴다고도 지적했다.
현대 중국 역사학자인 존 델러리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부교수는 "당시 중국인들은 순식간에 평양(북한)을 버렸다"면서 "(북한이) 전쟁을 우려한다면 미국을 걱정하겠지만, (정권) 전복이나 쿠데타를 우려한다면 중국을 훨씬 더 걱정한다"고 평가했다.
델러리 교수는 이런 이유에서 북한 당국이 자국의 경제와 시장을 중국에 전면 개방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북한에 있어 경제를 중국에 개방한다는 것은 '왕국의 열쇠를 넘겨주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그 일례로 과거 북한이 이동통신망을 구축했던 2008년 당시 북한 당국은 협력사로 (중국이 아닌) 이집트의 '오라스콤'을 선택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