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으로 서울 주요 상권이 침체된 상황에서도 도산대로, 압구정, 청담 등 강남 주요 상권 임대료는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소비층으로 부상하는 MZ세대의 눈길을 끌기 위해 기업들이 잇따라 매장을 내며 임차 수요가 유지된 영향이다.
1일 상업용 부동산 플랫폼 알스퀘어가 한국부동산원의 자료를 통해 서울 주요 상권 중대형·소형상가의 임대료와 공실률을 살펴본 결과, 올해 3분기 도산대로 중대형상가 임대료는 1㎡당 4만5900원으로 2020년 1분기보다 1.7% 올랐다.
압구정도 4만7700원으로 1.1% 상승했고, 청담과 신사는 각각 5만7900원, 8만2100원으로 2%대 감소에 그쳤다.
강남 트렌드 리딩 상권 공실 상황도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3분기 압구정 중대형상가 공실률은 7.4%로, 2020년 1분기 14.7%보다 7.3%포인트 내렸다. 같은 기간 도산대로는 10.9%로 0.8%포인트 떨어졌다.
소규모 상가의 경우 도산대로와 압구정 공실률이 각각 14.7%와 17.1%로 다소 높지만, 알스퀘어 관계자는 "매장 리뉴얼이나 계약 이후 잠시 공실인 상가가 많아 수치가 다소 높게 나온 것으로, 일종의 착시효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결과는 도심권역(CBD) 상권 임대료가 곤두박질친 것과 비교하면 더 대조적이다.
올 3분기 명동 중대형상가 임대료는 1㎡당 19만9700원으로 32.7% 감소했다. 남대문(-7.9%), 광화문(-4%), 시청(-3.8%) 등도 모두 내렸다. 소규모 상가도 명동은 26.4% 떨어졌고, 광화문(-5.8%), 을지로(-2.7%), 시청(-1.4%) 등의 임대료도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공실률도 심각한 수준이다. 명동은 중대형, 소형 가리지 않고 전체 상가의 절반 정도가 공실이며, 광화문도 중대형∙소형상가의 공실률이 각각 23%, 19.3%에 달했다.
강남 트렌드 리딩 상권 임대료와 공실률이 팬데믹에도 큰 타격을 받지 않은 건 거리두기 조치 완화로 서서히 살아난 소비심리가 명품이나 특정 브랜드 중심으로 몰리면서 기업들의 출점이 잇따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알스퀘어 리테일 관계자는 "MZ세대가 선호하는 브랜드가 트렌드 리딩 상권에 입주하면서 비슷한 콘셉트의 다른 브랜드도 몰리고 있다"며 "수요는 늘어나고 공급은 따라가지 못하니 임대료는 오르고 공실률은 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