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임대사업자도 임대보증을 의무로 가입키로 하면서,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업무가 과부하에 걸렸다. 임대보증의 경우 연간 보증수요가 18만건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담당 직원은 단 90명뿐이어서다. 인력난에 업무가 지연되면서 고객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 8월부터 기존 임대사업자도 임대보증을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하면서, HUG의 업무가 급격하게 커졌지만 인력은 여전히 제자리여서다. 더구나 동일한 영업점에서 기업보증과 개인보증을 같이 처리하면서 업무에 혼선을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임대보증은 HUG와 서울보증보험이 취급하고 있지만 보증료, 가입편의성 등으로 인해 가입자의 99% 이상이 HUG로 몰리고 있다. HUG에 따르면 개인 임대사업자에 대한 임대보증의 보증발급 건수는 지난해 8~12월 사이에 1118건이었지만 올해 1~9월사이에 발급된 보증 건수는 1만3232건으로 폭증했다.
HUG는 애초 임대보증 신청이 몰릴 것을 예상하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먼저 보증 가입서류를 간소화하고 심사체계를 개선했다. 고객이 제출하기 어려운 양도각서, 선순위채권확인원 등을 생략하는 등 제출서류를 10개에서 4개로 대폭 간소화했다. 또한 임대보증 관련 인터넷 및 모바일 보증시스템을 개발했고, 임대보증 전담 콜센터를 개소하는 등 업무효율성도 높였다.
아울러 고객접점 조직을 확대하기 위해 지난 7월 서울서부지사 등 5개 영업부서에 임대보증전담팀을 신설 또는 추가하고 인원을 확충했다.
그러나 여전히 턱없이 부족한 인력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KB시세가 나오지 않는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등을 비롯해 복잡한 권리관계로 인해 권리분석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보증가입 건들이 많아서다.
HUG 관계자는 “임대보증의 경우 연간 보증수요가 약 18만건으로 예상된다”면 “현재 영업점에서 임대보증의 보증서를 발급하는 약 90명의 인원으로는 당연히 업무가 지연될 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이어 “임대보증 가입을 위한 고객들이 영업점에 항상 대기하고 있어서 직원들은 화장실 갈 시간도 없이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고 상황을 전했다.
더구나 국토부가 지난 8월 각 지자체에 요청한 임대보증금보증 미가입 임대사업자에 대한 제재조치 유예도 연말로 종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때문에 HUG의 보증 가입 지연에 대한 고객불만의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다. 임대사업자들에게 과태료 부과를 피하기위해서 보증료가 저렴한 HUG 말고 보증료가 최대 10배 비싼 서울보증보험에 가입을 하라고 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HUG관계자는 “현재 폭증하는 임대보증 가입 물량에 대응하여 신속한 보증발급을 위해 소관 영업점뿐 아니라 PF센터 등에서도 보증심사를 진행하는 등 전사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