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후보는 12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외신기자클럽 간담회에서 “종전선언만 먼저 할 경우 정전관리체계인 유엔사가 무력화되기 쉽고, 유엔사의 일본 후방기지 역시 무력화되기 쉽다”며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한민국 안보에 중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종전만 분리해서 정치적 선언을 할 경우의 그것의 부작용이 상당히 크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 상태에서는 이것이 국제사회나 우리 남한에 잘못된 시그널을 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부연했다.
또 북한 비핵화 협상 방식으로는 '남·북·미 상시 3자회담'을 제시했다.
윤 후보는 “과거에는 4자, 6자회담을 진행해왔지만 만족할 만한 성과가 없었다. 남·북·미 간 상시 3자회담을 제안한다”며 “판문점이든, 북한이 원한다면 워싱턴도 좋다. 여기에 남북한과 미국이 상시적으로 3자회담 장소를 둬서 어쩌다 만나는 4자, 6자회담이 아니라 우리 외교관을 파견해서 3자가 미리 조율하고 협상하자”고 했다.
한·미 관계에 대해서는 전략동맹을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하며 “글로벌 자유민주주의 연대에 동참하면서 아태지역 평화번영의 주춧돌을 놓고 긴밀한 정보 공유와 전략공조를 통해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고, 중국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정경분리와 공동이익의 원칙에 입각해 상호존중의 새로운 협력시대를 열고 고위급 전략대화 정례화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