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가 어린이 교통안전 문화 확산을 위해 사회공헌 활동을 선보였다.
현대모비스는 자동차에 적용되는 첨단 기술을 활용해 비대면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앱) '학교가는 길'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학교가는 길 앱의 가장 큰 특징은 시선인식 기술을 활용한 점이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에 장착돼 있는 전면 카메라를 통해 학생들의 눈동자 움직임을 분석하는 방식이다. 어린이들이 가상의 교통안전 환경에서 여러가지 위험 상황을 실제로 정확하게 인지했는지 확인한다.
이같은 방식은 현대모비스의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에서 영감을 얻어 개발됐다. 운전자 동공인식을 통한 시선추적과 운전자의 눈·코·입을 통해 운전자의 실시간 상태 파악이 가능한 기술이다.
교육 내용에는 여러가지 교통상황을 분석해 등·하교 중 일어날 수 있는 위험 상황이 담겼다. 신도심·구도심·농촌·공장가 등 총 4가지 유형의 등굣길 콘텐츠를 제공해 다양한 지역의 어린이들이 교통안전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실제 등교 환경을 동영상으로 재생해 교육의 몰입감을 높였다.
현대모비스는 코로나19 장기화로 대면 교육이 어려운 상황에서 다양한 학교와 지역의 어린이 교통안전 교육의 기회를 만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향후 앱에서 수집되는 빅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어린이 교통안전 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다. 시선인식을 통해 부주의하게 인지하는 상황과 교통안전 퀴즈 정답률 등을 분석해 지역별, 학교별, 학년별로 취약한 교통사고 유발 포인트를 도출하고 교통안전 정보를 원하는 학교에 제공할 계획이다.
이현복 현대모비스 ESG추진사무국장 상무는 "어린이들의 안전교통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고, 교통안전의식을 계속 향상시킬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모비스는 자동차에 적용되는 첨단 기술을 활용해 비대면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앱) '학교가는 길'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학교가는 길 앱의 가장 큰 특징은 시선인식 기술을 활용한 점이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에 장착돼 있는 전면 카메라를 통해 학생들의 눈동자 움직임을 분석하는 방식이다. 어린이들이 가상의 교통안전 환경에서 여러가지 위험 상황을 실제로 정확하게 인지했는지 확인한다.
이같은 방식은 현대모비스의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에서 영감을 얻어 개발됐다. 운전자 동공인식을 통한 시선추적과 운전자의 눈·코·입을 통해 운전자의 실시간 상태 파악이 가능한 기술이다.
현대모비스는 코로나19 장기화로 대면 교육이 어려운 상황에서 다양한 학교와 지역의 어린이 교통안전 교육의 기회를 만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향후 앱에서 수집되는 빅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어린이 교통안전 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다. 시선인식을 통해 부주의하게 인지하는 상황과 교통안전 퀴즈 정답률 등을 분석해 지역별, 학교별, 학년별로 취약한 교통사고 유발 포인트를 도출하고 교통안전 정보를 원하는 학교에 제공할 계획이다.
이현복 현대모비스 ESG추진사무국장 상무는 "어린이들의 안전교통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고, 교통안전의식을 계속 향상시킬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11/11/20211111100420764211.jpg)
홍대부속초등학교 학생들이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교통안전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체험하고 있는 모습.[사진=현대모비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