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욱 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1년 금융동향과 2022년 전망' 토론회에서 금융시장 위험요인 전망에 대해 "가계부채 미시자료 분석 결과 금리 민감도가 높은 차주의 비중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며 이를 가계부채 리스크 요인 중 하나로 꼽았다.
연구원은 이날 '대출금리 상승 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변화의 차주 분포도'를 공개했다. 소득 대비 부채가 많을수록 금리인상에 따른 금융비용이 커지는데 부채와 소득이 고정돼 있고 대출금리는 변동금리라는 가정 하에 금리 인상으로 인한 DSR 변화를 평가한 것이다.
분석 결과 대출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경우 전체차주 중 9.6% 차주의 DSR이 5%포인트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영업자(14.4%)와 취약차주(11.7%)가 이같은 대출금리 인상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 측은 "DSR이 5%포인트 증가했다는 것은 소득의 5%를 추가로 이자비용으로 부담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박 실장은 "거시건전성 정책은 가계부채가 금리상승기에 시스템 위험 확대 요인이 되지 않도록 상환가능범위내 대출, 투기적 대출 억제의 원칙 하에 증가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면서 주택공급 촉진 정책과 조화될 수 있도록 유연한 관리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금융연구원은 이밖에도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관련 리스크 ▲향후 인플레이션 확대 가능성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중국 정치-경제 복합 리스크 ▲기업부채 리스크 ▲ 여성 고용에 대한 상흔 등을 위험요인으로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