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산업이 정부가 발표한 시나리오에 따라 탄소중립을 이루기 위한 핵심으로 수소환원제철 기술 조기확보, 정책기금 조성 등이 제시됐다.
5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개최한 ‘제7차 미래산업포럼’에서는 최근 글로벌 공급망 불안을 겪는 철강산업의 탄소중립과 디지털 전환 추진상황에 대한 논의가 오갔다.
이날 철강업계는 탄소중립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을 강조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철강산업 탄소중립의 핵심과제인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개발하고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만 수십조 원이 소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연탄과 전력 사용 비중이 높아 대표적인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으로 꼽히는 철강산업은 2019년 기준 1억1700만t의 온실가스를 배출했다. 이는 국가 전체 배출의 16.7%, 산업 부분의 30.0%에 달하는 수준이다.
정은미 산업연구원 본부장은 이날 발표를 통해 “철강산업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것은 업계의 노력 부족보다는 산업의 구조적 특성 때문”이라며 “철강업계도 적극적인 기술개발과 투자에 나서야 하지만 예상되는 대규모 투자와 리스크를 고려하면 정부의 세제 혜택과 금융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본부장은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단기와 중장기로 구분해 접근할 것을 제안했다.
단기적으로는 석탄 기반의 제철공정 효율화, 전기로 구축에 집중하고 장기적으로는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사용화를 앞당겨 수소기반 제철공정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철강산업의 미래경쟁력 향상을 위해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그간 대규모 설비투자를 핵심경쟁력으로 삼아왔던 철강산업이지만 다품종 소량생산이 늘어나고 비대면 거래가 확대되면서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 밖에도 철강산업이 탄소중립 등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탄소중립 기금조성 △신성장 원천기술 세액공제 확대 △배출권거래제 개선 등이 필요하다는 건의사항을 공유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철강산업의 탄소중립 추진에는 고난도 기술개발과 대규모 시설투자 등 어려운 과제들이 많아 기업에 큰 부담이 된다”며 “철강업계가 도전적인 탄소중립 목표를 세우고 실천해 나갈 수 있도록 정부에서 과감한 정책 지원을 펼쳐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5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개최한 ‘제7차 미래산업포럼’에서는 최근 글로벌 공급망 불안을 겪는 철강산업의 탄소중립과 디지털 전환 추진상황에 대한 논의가 오갔다.
이날 철강업계는 탄소중립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을 강조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철강산업 탄소중립의 핵심과제인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개발하고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만 수십조 원이 소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연탄과 전력 사용 비중이 높아 대표적인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으로 꼽히는 철강산업은 2019년 기준 1억1700만t의 온실가스를 배출했다. 이는 국가 전체 배출의 16.7%, 산업 부분의 30.0%에 달하는 수준이다.
정 본부장은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단기와 중장기로 구분해 접근할 것을 제안했다.
단기적으로는 석탄 기반의 제철공정 효율화, 전기로 구축에 집중하고 장기적으로는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사용화를 앞당겨 수소기반 제철공정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철강산업의 미래경쟁력 향상을 위해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그간 대규모 설비투자를 핵심경쟁력으로 삼아왔던 철강산업이지만 다품종 소량생산이 늘어나고 비대면 거래가 확대되면서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 밖에도 철강산업이 탄소중립 등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탄소중립 기금조성 △신성장 원천기술 세액공제 확대 △배출권거래제 개선 등이 필요하다는 건의사항을 공유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철강산업의 탄소중립 추진에는 고난도 기술개발과 대규모 시설투자 등 어려운 과제들이 많아 기업에 큰 부담이 된다”며 “철강업계가 도전적인 탄소중립 목표를 세우고 실천해 나갈 수 있도록 정부에서 과감한 정책 지원을 펼쳐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