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11/03/20211103104036867808.jpg)
포천시청.[사진=포천시 제공]
국가안전대진단은 정부, 공공기관 등 시설물 관리 주체가 참여, 사회 전반의 재난위험 요소를 조기에 발견해 시설물 보수·보강, 제도 개선 등을 독려하는 재난 예방 활동이다.
시는 각 분야 자문단으로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점검을 벌인다.
점검은 건축물의 안전, 전기, 가스, 소방 준수 여부 등을 한다. 특히 대형 화재 사고 위험요소를 집중적으로 점검한다.
점검 결과 경미한 사항은 즉시 시정하고, 지적사항과 점검 결과는 관리시스템으로 관리한다.
또 포천시는 생태계를 어지럽히는 식물 제거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도심 하천에서 번식해 하천 생태계를 위협하는 단풍잎돼지풀, 가시박, 환삼덩굴 등 생태계 교란 식물을 연중 제거한다.
꽃이 피기 전인 3~4월에는 뿌리 제거 전담반을, 3~11월에는 전담제거반을 가동한다. 마을별 민·관 합동 캠페인도 지속해서 열 계획이다.
생태계 교란 식물은 덩굴성 식물이라 다른 식물을 감고 덮어 고사시킨다.
시는 지난 2월 환경단체 회원 1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포천천 일대에서 생태계 교란식물을 제거했다.
포천시는 다음달 31일까지 내년도 유기농업 자재 지원사업 대상 농가 신청을 받는다고 3일 밝혔다.
유기농업 자재와 녹비종자 구매 비용을 지원, 농가 경영비 부담을 줄이고, 농약·화학비료 사용을 감소시키는 사업이다.
신청 대상은 친환경 농산물 인증을 받은 농업인과 일반농가다. 단, 일반농가는 시 농업기술센터에서 비료 사용 처방서를 받아야 한다.
유기농업 자재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공시된 품질 인증 자재다.
1㏊당 총구매비 기준으로 유기 인증 농가는 200만원, 무농약 인증 농가는 150만원, 일반농가는 100만원 한도로 지원한다.
녹비작물 종자는 농업경영정보를 등록한 일반 농업경영체에 1㏊당 헤어리베치(60㎏), 녹비(청)보리(140㎏), 호밀(160㎏), 자운영(50㎏), 수단그라스(50㎏) 등을 지원한다.
녹비작물 재배 후 절단해 농경지에 환원할 경우에도 장려금을 준다.
이 기간 각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로 신청하면 된다.
시는 친환경 인증을 받지 않은 일반농업인을 위해 토양 검정, 시비 처방 등의 컨설팅을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