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케이아시안리뷰(NAR)는 18일 중국 재정부 자료를 인용해 올해 1~8월까지 중국 대형 국영기업들의 총 이익은 1조7700억 위안(약 326조65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반면 같은 기간 민영기업 총이익은 1조64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민영 기업들은 중국 정부의 전방위적인 규제 강화로 인한 순익 감소에 직면하면서 성장세가 둔화했다.
이 추세로라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무려 12년 만에 국영기업의 연간 총이익이 민영기업을 제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국진민퇴 현상이 강화한다는 얘기다. 중국 민영기업은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60% 이상, 세수의 60%, 기술혁신의 70%를 차지한다. 일자리도 80%를 창출하며 현재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끈 주력군으로 평가받는다.
물론 상반기 내내 국영기업에 총이익이 뒤처지다가 3분기 들어 이를 뒤집었던 2018년과 2019년의 상황이 재연될 수도 있다. 중국 상황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9월부터 세금 환급과 연말 정산 등이 시작되면 민영기업들의 이익이 국영기업을 넘어설 수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런데 올해는 상황이 조금 다르다. 민영기업은 국영기업에 비해 자금 조달의 기회가 현저히 줄었다. 신용등급이 높은 국영기업은 저금리로 쉽게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반면 민영기업은 대출이 비교적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당국이 디레버리징(부채축소)을 위해 중소기업의 중요한 자금원이었던 그림자금융 단속을 강화했고, 강력한 부동산 대출 규제책도 펼쳤다.
이에 따라 올해 8월 국영기업들의 부채는 연초 대비 0.5% 감소한 반면 민영기업들의 부채는 20% 증가했다.
게다가 최근 중국의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 격차가 사상 최대로 벌어지고 있다. 지난달 중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은 10.7%로 1996년 10월 집계 시작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같은 달 소비자물가지수(CPI)상승률은 0.7%를 기록했다.
PPI와 CPI의 격차가 커지면 원자재를 사다가 제품을 만들어 파는 기업들의 이익률에 직격탄이 된다. 생산원가 상승분을 소비자에게 쉽게 전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에너지·소재 방면에 집중된 국영기업보다 소비자·소비재를 주로 다루는 민영기업들이 더 큰 타격을 입는 구조다.
NAR는 “중국 근로자들의 80%는 민영기업이 대다수인 중소기업에 고용돼 있기 때문에, 민영기업의 압박은 혁신을 저해할 뿐 아니라 고용 시장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