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B는 22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1년 아시아 역내 경제 전망 수정'을 발표했다.
기획재정부는 "변종 바이러스 출현 등에도 예상외 순수출 강세와 견고한 민간 투자, 민간 소비 회복에 힘입은 결과"라고 분석했다.
ADB는 우리나라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3.1%를 그대로 유지했다.
올해 한국 물가 상승률은 지난 7월 1.8%보다 0.2%포인트 높은 2.0%로 전망했다. 내년 물가 상승률은 1.6%를 유지할 것으로 봤다.
ADB는 아시아 역내 국가의 올해 경제 성장률을 7.1%로 조정했다. 지난 4월 7.3%였던 전망치를 7월 보충 전망에서 7.2%로 하향한 데 이어 다시 한번 낮춘 것이다. 49개 아시아 역내 국가 중 일본·호주·뉴질랜드를 제외한 46개국 전망치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은 8.1%를 유지했다. 지난 7월은 물론 4월 전망치와도 같다. 인도 성장률도 10.0%로 변동이 없었다. 다만 4월(11.0%)보다는 낮았다.
베트남과 태국은 내림세를 이어갔다. 올해 베트남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7월 5.8%에서 이번엔 3.8%로 낮아졌다. 지난 4월(6.7%)과 비교하면 2.9%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태국은 지난 4월 3.0%에서 7월 보충 전망 때 2.0%, 이번 수정 전망에선 0.8%로 낮아졌다.
아시아 46개국 2022년 성장률은 7월과 같은 5.4%로 예상했다.
ADB는 "변종 바이러스 출현 등이 아시아 경제 회복 지연의 원인"이라고 지적하며 "정책 입안자는 기후변화와 자연재해, 긴축 재정 상황 등 다른 위험 요소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