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성남 시장 당시 성남시 대장지구 개발 관련 '화천대유자산관리' 의혹이 커지면서 고소·고발로 확전되는 모양새다. 해당 의혹 관련해 법조계·야권 인사들까지 드러나면서 수사로 이어질지 여부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지사 측은 “이들 3명이 이 후보의 당선을 방해할 목적으로 진위 여부가 확정되지 않은 사실을 사실인 것처럼 공표한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당시 성남시장이었던 이 지사 측의 도움 없이 민간 사업자가 막대한 수익을 낼 수 있었겠냐는 의문이 제기된다. 화천대유가 투자원금 5000만원으로 사업에 참여해 3년간 577억원을 배당받은 것이 일종의 특혜 아니냐는 것.
이와는 별개로 당시 화천대유의 법조계 고위직 출신 인사 영입과 그 자녀들을 직원으로 채용한 것은 일종의 로비 목적 아니었냐는 의혹도 나온다.
최근 화천대유의 자회사인 '천화동인'의 실소유자로 언론사 간부 출신 김모씨와 박영수 전 '국정농단 사건' 특별검사의 측근들이 거론되고 있다.
박 전 특검은 화천대유가 설립된 해인 지난 2015년 12월부터 1년 동안 화천대유에서 상임고문으로 활동하면서 2억5000만원의 급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특검은 2016년 12월1일 '국정농단 사건' 특별검사로 임명되기 하루 전까지 화천대유 상임고문으로 재직했으며 화천대유에서 직원으로 일했던 박 전 특검의 딸도 수천만원의 연봉을 받아 온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11월 화천대유 고문으로 영입된 권순일 전 대법관은 최근까지 월 2000만원의 급여를 받아간 것으로 알려졌다.
또 곽상도 국민의힘 의원과 신영수‧원유철 전 의원 등도 연관된 것으로 알려졌다. 곽 의원의 아들은 화천대유에서 근무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원 전 의원은 지난 7월 '불법 정치자금 수수'로 교도소에 수감되기 직전까지 매월 900만 원씩 급여를 타간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이 본격적인 수사에 나서면 사업의 경위 등 실체에 대한 파악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법조계에서는 향후 쟁점으로 이 지사가 당시 입찰과정에 개입을 했었는지 여부, 당시 법조인들이 받았던 고문료 등이 대가성이 있었는지 여부 등이 쟁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서초동의 한 변호사는 "입찰의 조건을 자의적으로 재량권을 일탈 남용해서 설정했느냐가 쟁점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지금 거론되고 있는 법조인과 그 자녀들은 뇌물 문제에서 자유롭기는 힘들어 보인다"며 "고문료나 급료를 받는 것만으로는 대가성이 없다고 할 수 없다. 전체적으로 뇌물성이 있느냐를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이 지사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이익의 상당 부분을 공공이 취하는 대신 자금조달과 사업 수행, 나아가 부동산 가격 하락 시 위험 부담까지 모두 민간사업자가 떠맡는 대안을 생각해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결국 920억 원으로 추산되는 시의 공공사업들을 (민간사업자가) 대신하게 했고 총 5500억 원이 넘는 개발이익을 시민께 돌려드렸다"며 "화천대유 대표에게 ‘공산당’이라는 소리까지 들어가며 이뤄낸 일"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