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수입시장의 구조가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기존 주력 품목의 경쟁력 개선과 수입구조 변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7일 발표한 ‘최근 주요국 수입구조 변화와 우리 수출 경쟁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수입시장에서의 한국산 점유율은 3.3%로 최근 10년 내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에서의 점유율은 2015년 12.0%에서 2020년 8.9%로 하락하면서 2015년 이후 유지해오던 1위 수입국 자리를 대만(10.3%)에 내어주고 점유율 3위로 내려앉았다. 2위는 일본(9.0%)이 차지했다. 베트남에서도 2018년부터 한국산 점유율의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이들 수출 상위 국가에 대한 점유율 증감은 수출 경쟁력 외에도 수입국의 산업구조 재편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미·중 무역갈등,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 미국의 초장기 경기호황 등이 대표적인 예다.
무역협회가 점유율 변동을 공급, 수요, 적응 등 세 가지 요인으로 분해해 분석하는 불변시장점유율(CMS) 분석을 통해 각 시장별 점유율 증감 요인을 파악해본 결과, 미국에서는 지난해 수입수요가 확대된 SSD(Solid State Drive), 이차전지 등 품목에서 우리나라 제품이 두각을 나타내며 점유율 상승으로 이어졌다.
미‧중 통상분쟁 이후 일부 품목에서 우리나라 제품이 중국산 수요를 대체한 점도 호재로 작용했다.
반면 중국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품목인 디스플레이, 석유화학 등 제조업 자급률이 상승하면서 수요 요인의 영향으로 점유율이 감소했다. 공급 요인에 의한 감소 폭도 컸지만 이는 최대 수출품목인 메모리반도체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중국 현지 생산 본격화로 인한 것으로 기술 경쟁력과는 무관한 구조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베트남에서는 과거 우리 기업의 현지 생산 확대에 힘입어 중간재를 중심으로 점유율이 2010년 11.5%에서 2017년 22.0%까지 가파르게 상승했다. 그러나 미‧중 분쟁 이후 중국의 베트남 진출이 가속화하며 하락세로 돌아선 데 이어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현지생산에 차질이 빚어지며 17.9%까지 하락했다.
결과적으로 상품 경쟁력보다는 수요 측면의 영향이 더욱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특정 품목에 대한 높은 편중도로 인해 구조적 변화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우리 수출구조의 특성상 신성장 품목 수출 확대 등 주요 수입국의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는 중장기 수출 확대전략이 시급하다고 제언한다.
정혜선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팬데믹 이후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하고 중국이 제조업 자급률 제고를 위한 대대적인 투자를 지속하는 만큼 주요 수입국의 구조적인 변화는 한동안 계속될 것”이라면서 “신성장 품목 수출 확대 등 수입시장의 구조적 변화에 초점을 맞춘 중장기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