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지능형 자율공장 체제로의 전환에 첫걸음을 내디뎠다. 글로벌 생활가전사업의 핵심 생산기지인 경남 창원사업장이 'LG스마트파크'로 새 단장하면서다. 향후 전 세계 생산공장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LG전자는 16일 LG스마트파크에서 새롭게 재건축한 통합생산동의 1차 준공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LG스마트파크는 직원 공모를 통해 선정한 창원사업장의 새 이름이다.
LG전자는 16일 LG스마트파크에서 새롭게 재건축한 통합생산동의 1차 준공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LG스마트파크는 직원 공모를 통해 선정한 창원사업장의 새 이름이다.
◆총 8000억원 투자
LG전자는 총 8000억원을 투자해 주방가전을 생산하는 기존 창원1사업장을 친환경 스마트공장으로 전환하고 있다. 최근 4년 동안 약 4800억원을 투자해 이번에 통합생산동 1단계 가동을 시작했다.
개별 건물에 분산돼 있던 제품별 생산라인은 하나의 생산동으로 통합했다. 이번 1차 준공으로 냉장고, 초프리미엄 ‘LG 시그니처’ 냉장고, 정수기 등 3개 라인부터 생산 중이다.
◆최고 수준 '지능형 자율공장'
신축 통합생산동은 조립·검사·포장 등 주방가전 전체 생산공정의 자동화율을 크게 높였다. 설비·부품·제품 등 생산 프로세스 관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생산 효율성과 품질 경쟁력을 동시에 향상했다. 또 딥러닝을 통한 사전 품질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생활가전 생산공정의 디지털 전환을 구현했다.
최고의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해 물류 체계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지능형 무인창고, 고공 컨베이어와 같은 신기술을 대거 도입한 입체 물류 기반 자동공급 시스템 등으로 부품 물류 자동화를 확대했다. 이러한 첨단 설비와 최신 기술이 적용된 통합생산동이 최종 완공되면 최대 200만대 수준이던 기존 창원1사업장의 연간 생산능력은 300만대 이상으로 대폭 늘어난다.
아울러 LG전자는 자율형 지능공장 구축으로 국가 경제와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환경보호 실천에도 앞장설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LG스마트파크의 생산성이 꾸준히 향상되고, 생활가전 사업에서 지속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협력사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H&A사업본부 협력사 가운데 스타리온성철, 신성델타테크, 오성사 등 창원 지역에 있는 11개 주요 협력사의 종업원 수는 4100여명으로 작년 대비 약 10% 증가했다.
신축 통합생산동이 완공되면 건물 에너지 관리 솔루션 ‘비컨(BECON)’ 등 첨단 에너지 설비와 기술 적용으로 제품 생산에 투입되는 에너지 효율도 약 30% 개선될 전망이다.
류재철 LG전자 H&A사업본부장(부사장)은 “지속적인 투자로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 인프라를 구축한 창원을 글로벌 프리미엄 가전 시장 공략의 핵심 기지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