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쌀값 오르지 않을까"...가격상승 기대감에 벼·고추 재배면적↑

2021-08-30 12:00
  • 글자크기 설정

논 타 작물 재배 지원사업 종료·공익직불제 영향

강원 고성지역 올가을 첫 벼 베기가 지난 27일 간성읍 교동리 함종운씨 농가에서 진행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올해 벼와 고추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증가했다. 지난해 벼·고추 가격이 크게 뛰면서 올해도 가격 상승을 예상한 농민들이 재배면적을 늘린 게 영향을 끼쳤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21년 벼·고추 재배면적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벼 재배면적은 73만2477㏊로 지난해보다 0.8% 증가했다. 
우선 '논 타 작물 재배 지원사업'이 지난해 종료된 이후 농민들이 다시 벼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재배 면적이 늘었다는 게 통계청 설명이다. 이 사업은 정부가 논에 벼 대신 다른 작물(배추·무·고추·대파 등 특정 품목 제외)을 심을 경우 일정 금액을 지원해 쌀 생산을 줄이도록 유도하는 정책이다. 매년 생산되는 쌀 양이 많아서 발생하는 문제를 줄이기 위해 시행됐다. 

지난해 쌀 가격이 오른 것도 재배면적 증가에 영향을 끼쳤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농산물 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쌀 20㎏ 연평균 도매가격은 올해 5만8287원으로 지난해(4만9872원)보다 1만원 가까이 올랐다. 쌀 가격은 2017년 3만3569원 이후 5년 연속 오름세다.

이와 함께 지난해 5월부터 시행한 공익직불제 역시 재배면적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공익직불제는 농업 활동을 통해 환경보전, 농촌공동체 유지, 식품안전 등 공익기능을 증진하도록 농업인에게 보조금을 지원하는 제도다.

홍연권 통계청 농림어업과장은 "지난해 태풍 등 영향으로 쌀 가격이 많이 올랐다"며 "가격 요인과 정부의 논 타 작물 재배 지원사업 종료, 공익직불제가 맞물리며 벼 재배 면적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시·도별 벼 재배면적은 전남(15만5435ha), 충남(13만5399ha), 전북(11만4509ha), 경북(9만5837ha), 경기(7만4717ha) 등 순이다.

올해 고추 재배면적은 3만3373㏊로 지난해보다 7.1% 증가했다. 이 역시 지난해 크게 오른 고추 가격이 올해도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영향을 끼쳤다. KAMIS에 따르면 건고추(화건) 1㎏ 연평균 도매 가격은 지난해 1월 1만3327원에서 지난해 9월 2만7073원까지 뛰었다. 고춧값이 크게 오르자 농민들이 재배 면적을 늘려 물량 확보에 나선 게 영향을 끼친 것이다.

시·도별 고추 재배면적은 경북(8751ha), 전남(5067ha), 전북(4285ha), 충남(3750ha), 충북(2850ha) 순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