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지지부진하던 고용시장에 훈풍이 불었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2분기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국 고용률은 61.0%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1분기까지 전국 고용률이 4개 분기 연속 하락했지만, 2분기에는 방향을 틀어 반등에 성공한 것.
연령별로 보면 20대(2.1%포인트)와 50대(1.2%포인트) 등 전 연령층의 고용률이 오름세를 보였다. 지역별로 보면 대구(3.2%포인트), 제주(2.5%포인트), 전북(2.2%포인트) 등 14개 시도에서 고용률이 올랐다. 반면 울산(-0.2%포인트)의 고용률은 하락했다.
2분기 전국 실업률은 전년 동분기 대비 0.5%포인트 하락해 3.9%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0.1%포인트), 제주(0.1%포인트)의 실업률은 상승한 반면, 대전(-1.8%포인트), 부산(-1.6%포인트), 충남(-1.3%포인트)의 실업률은 하락했다.
전국 광공업생산은 1년 전보다 13.0% 늘었다. 반도체, 자동차·트레일러 등의 생산이 크게 증가한 게 영향을 미쳤다. 지역별로 보면 광주(29.4%), 대구(28.2%), 충북(19.6%)은 전기장비와 자동차·트레일러, 화학제품 등의 생산이 늘어 전국 평균보다 더 크게 증가했다.
서비스업생산은 전국에서 5.7% 늘었다. 특히 금융·보험업 비중이 큰 서울(8.0%)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서울을 비롯해 부산(6.0%), 충남(5.7%)은 금융·보험, 운수·창고 등의 생산이 늘어 전국 평균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소비(소매판매)는 무점포소매와 백화점 등에서 판매가 늘어 1년 전보다 4.4% 증가했다. 특히 제주(15.7%), 서울(6.4%), 부산(4.8%)은 면세점, 승용차·연료소매점 등의 판매가 늘었다. 반면 울산(-5.8%), 전북(-5.1%), 대전(-4.3%)은 슈퍼마켓·잡화점·편의점, 전문소매점 등의 판매가 줄어 감소했다.
수출의 경우 승용차, 메모리반도체, 기타 인조플라스틱 등의 수출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42.1% 증가했다. 특히 제주(92.7%), 전남(84.4%), 서울(72.4%)은 기타 집적회로 반도체·부품, 철강 판, 기타 인조플라스틱 등의 수출이 늘어 전국 평균보다 더 크게 증가했다.
올해 2분기 물가는 전국 기준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2.5% 올라 4분기 연속 상승을 기록했다. 서울(1.8%), 부산(2.4%), 인천(2.4%)은 전기·수도·가스, 공공서비스 등이 내려 전국 평균보다 낮게 상승했다. 반면 제주(3.3%), 전북(3.0%), 충남(2.9%)은 석유류 등이 올라 전국 평균보다 높게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