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7/20/20210720145548531443.jpg)
[사진=연합뉴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올 1분기 말 담보 대출 총합산 잔액은 46조43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동기(37조6862억원)보다 22%가량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5대 대형 저축은행(SBI·OK·웰컴·페퍼·한국투자)의 증가 폭은 28%로 이를 웃돌았다.
이는 건전성 관리 측면의 행보로 풀이된다. 담보 대출의 경우, 일반 신용 대출에 비해 부실 발생 시 감당해야 할 부담이 현저히 적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이후 건전성 방어가 절실한 저축은행 입장에선 적절히 활용할 만한 안전장치다. 다만 부동산 등 담보 가치의 시세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은 있다.
작년 하반기부터 기업 대출량이 폭증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기업 대출의 경우, 통상 신용과 담보가 모두 확보됐을 때 진행된다. 저축은행의 기업 대출 잔액은 작년 1분기 38조3464억원에서 올 1분기 45조3868억원으로 18%가 늘었다.
세부적으로 부동산 담보 대출은 작년 1분기 22조9000억에서 올 1분기 27조3000억원으로 19.2%가 늘었다. 기타(설비기계, 자동차 등) 담보도 14조6000억원에서 18조6000억원으로 27%가 늘었다. 예적금 담보의 경우 1411억원서 1030억원으로 오히려 감소했다. 통상 부동산 담보는 개인사업자, 기타 담보는 중소기업이 주로 활용한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담보 대출의 경우) 시중 은행에서 개인 자격으로 대출을 받고, 저축은행에서 사업자 자격으로 추가로 받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시중은행 대출 규제에 따른 풍선 효과로 관련 대출이 급팽창했다는 시각도 있다. 저축은행의 증가폭이 시중은행에 비해 현저히 높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4대 시중은행(KB, 신한, 하나, 우리)의 담보 대출 증가폭은 5% 수준에 그쳤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작년 하반기부터 시중은행들이 대출 관련 규제를 강화하면서 주로 중기 대출 수요가 저축은행에 많이 흘러내려 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