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7/12/20210712083027641632.jpg)
[사진=수원시 제공]
이에 따라 수원박물관이 테마전 ‘수원 산루리의 독립영웅들’을 오는 10월 3일까지 연장 개최키로 했다.
12일 수원박물관에 따르면 ‘수원 산루리의 독립영웅들’은 ‘수원의 유관순’이라 불리는 독립운동가 이선경(1902~1921)의 순국 100주년을 기념해 마련한 전시회로 이선경을 비롯한 수원 산루리 출신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볼 수 있으며 독립운동가들의 사진, 관련 유물·자료 등 100여 점을 전시하고 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7/12/20210712083115386569.jpg)
일제시대 당시의 산루리 전경[사진=수원시 제공]
대표적인 산루리 출신 독립운동가인 이선경은 1921년 만 19세 나이에 수원 학생들이 조직한 비밀결사단인 ‘구국민단’에서 독립운동을 했다. 독립자금을 모아 상해 임시정부로 떠나려던 찰나에 일제에 발각돼 8개월 동안 옥고를 치렀다.
계속된 고문으로 죽음의 문턱에 이르렀을 때 일제는 이선경을 풀어줬고 19살 되던 해 서대문형무소를 나온 그는 수원 큰오빠 집에서 치료받다가 옥고의 후유증으로 석방 9일 만에 눈을 감았다.
전시회에서는 이선경뿐 아니라 민족대표 48인 중 한 명으로 수원의 3.1운동을 주도한 김세환(1889~1945)과 그를 도와 3.1운동을 이끌고 수원 신간회와 사회운동을 이끌었던 김노적(1895~1963) 등 산루리 출신 독립운동 영웅들의 자료를 만날 수 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7/12/20210712083334111970.jpg)
새로 일부 개편된 서에관 모습[사진=수원시 제공]
지난해부터 이어온 특별기획전 ‘서풍만리(書風萬里)-조선서예 500년’ 폐막에 따라 서예관 전시유물을 교체했다.
그동안 수집한 조선 명인과 영조·정조의 친필을 볼 수 있으며 독립운동가 김구의 작품과 근대 서화가들의 글씨와 그림도 전시한다.
역사관에는 시민들이 기증한 유물을 전시하는 ‘기증유물로 보는 수원’ 코너를 신설해 1950~60년대에 수원으로 시집 온 여성들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호수함과 혼수, 재봉틀과 머릿장, 제기와 제사상 등을 전시했다.
이민식 수원박물관 학예팀장은 “코로나19로 인해 관람이 제한돼 많은 분이 박물관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 더 많은 시민이 전시를 관람할 수 있도록 전시 기간을 연장했다”며 “더 많은 시민이 수원 산루리의 독립운동가를 만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