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7/09/20210709150824762496.jpg)
[사진=코인원 제공]
공개된 필수요건 점검항목은 법적요건(△ISMS 인증 획득 여부 △금융관련법률 위반 이력 △예치금·고유재산 및 고객별 거래내역 구분·관리 여부 △다크코인 취급 여부 △FIU 신고 유효 여부)과 기타요건(△부도, 회생, 영업정지 이력 △대표자 및 임직원의 횡령·사기 연루 이력 △외부해킹 발생이력 △신용등급 △당기순손실 지속 여부) 등 총 10개 항목으로 구성된다.
이중 가장 핵심 쟁점이 되는 것이 다크코인 취급 여부 및 외부해킹 발생이력, 대표자 및 임직원의 횡령·사기 연루 이력이다. 코인원은 국내 주요 거래소 중 유일하게 설립 이래 단 한 번도 다크코인을 상장한 바 없다. 송금주소까지 모두 익명화 할 수 있어 일명 프라이버시 코인이라 불리는 다크코인을, 코인원은 사업 초기부터 자금세탁에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에 상장을 진행하지 않았다.
또한 메이저 거래소들이 수백억원대의 해킹 사고가 일어났을 때도 코인원은 설립 후 외부해킹 0건을 기록 중이다. 이는 자연스럽게 화이트 해커 출신 차명훈 대표의 철저한 보안 의식으로 이어진다. 거래소 시스템의 모든 단계에 걸쳐 보안을 구축한다는 기업 정책을 일관되게 유지하며 ‘강한 보안’ 브랜드를 만들어 왔다. 차 대표는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 중 유일한 오너임과 동시에 창업자인 대표다. 현재 차 대표의 통합 지분율은 54.47%로 실질적인 최대주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