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용인 할미산성 국가 사적 지정 추진 박차···'신라시대 산성'

2021-06-28 16:59
  • 글자크기 설정

최근 문화재청서 현지 조사···'고대 용인이 군사·교통 요충지였다는 것 증명'

할미산성 팔각 건물지 전경[사진=용인시 제공]

용인시(시장 백군기)가 용인 할미산성의 국가 사적 지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할미산성은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 할미산에 위치한 신라시대의 산성(山城)이다. 6세기 중반 신라가 한강 유역 진출 과정에서 축성했으며, 신라시대의 산성 축조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인정받아 지난 2007년 경기도 기념물 제215호로 지정됐다.

시는 지난 2010년부터 토지매입, 발굴조사, 성벽 정비 등 할미산성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발굴조사는 지난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7차례 진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장방형 건물지 △집수시설 △팔각형 건물지 등의 중요 유구가 출토됐다.

시는 이 유물들을 통해 할미산성이 신라의 한강 유역 진출을 위한 배후 거점 역할을 했다는 것과, 동시에 고대 용인이 군사·교통의 요충지였다는 것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
 

할미산성 성벽 절개부 모습[사진=용인시 제공]

지난 2018년부터는 할미산성의 국가 사적 지정을 위한 연구용역과 학술심포지엄을 열고, 이 결과를 토대로 지난 2019년 문화재청에 할미산성의 국가 사적 지정을 신청했다. 특히 지난 11일에는 오랜 기다림 끝에 문화재청의 현지 조사가 진행됐다.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 위원장 등 3명으로 이루어진 현지조사단은 이날 할미산성을 둘러보고 국가 사적 지정 기준에 따른 문화재의 가치 평가 등을 조사했다. 국가 사적 지정 여부는 현지 조사 결과와 문화재청의 문화재위원회 회의를 거쳐 결정될 예정이다.

시는 할미산성이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면 할미산성의 역사적 가치를 널리 알림과 동시에 시의 이미지 제고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무엇보다 할미산성 발굴과 정비에 소요되는 예산의 70%를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어 할미산성의 복원 및 관리가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할미산성의 국가 사적 지적을 위해 현재 유구 정비와 성벽 정비 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내년 할미산성 발굴조사 10주년을 기념해 학술행사 등을 개최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국가 사적 지정은 문화재의 역사적 가치, 정비 현황, 향후 계획을 전방위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며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할미산성의 학술적 가치 규명, 유구 정비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에는 △용인 서리고려백자요지(사적 329호) △용인 보정동 고분군(사적 500호) △용인 심곡서원(사적 530호) 등 3곳이 국가 사적으로 지정돼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