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여론조사 기관 유니온 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시민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도권 매립지 종료 및 자원순환 정책 시민인식 조사’ 결과 응답자의 86.9%가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발생한 쓰레기를 인천에서 처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답했다고 28일 밝혔다.
조사 결과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발생한 쓰레기가 인천에 매립되는 것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86.9%가 ‘인천에서 발생한 쓰레기가 아닌데 인천에서 처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응답해 발생지 처리 원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도권매립지 종료에 대해서는 ‘30년 이상 견뎌왔던 인천시민의 고통이 연장 되므로 오는 2025년에 종료해야 한다’는 응답이 83.4%에 달했다.
다만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다른 매립지가 아직 마련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시가 취해야 할 방향에 대해서는 51%가 ‘인천시만의 자체 매립지 확보를 추진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는 쓰레기 문제가 수도권 전체의 문제임에도 인천시만 문제 해결을 위해 나서고 있는 것에 대해 서울시와 경기도도 매립지 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의사로 풀이된다.
한편 시는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위해 지난해 쓰레기 독립을 선언하고 환경특별시 인천을 선포하는 등 자원순환 대전환 시책을 꾸준히 추진해 오고 있다.
시의 이러한 정책방향에 대해 응답자의 46.1%가 ‘매우 바람직하다’, 48.3%는 ‘바람직한 편이다’라고 답해 시민 94.4%가 시의 자원순환 정책 방향에 적극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시민들의 전폭적인 호응을 얻은 자원순환 정책은 시민들의 쓰레기 배출 의식 및 행태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에 비해 생활쓰레기 발생량을 어느 정도 줄였는지 물은 질문에 45.1%의 시민들이 ‘대체로 줄였다’고 답했고 일회용품 사용도 55.4%의 시민들이 ‘매우 많이 줄였거나 대체로 줄인 편’이라고 응답했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수도권매립지에 반입된 시의 직매립 생활폐기물 양은 4만2천151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반입량 5만3천233톤보다 20.8% 감소했다.
이번 조사는 시가 주요 현안에 대한 시민여론을 파악해 주요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소통협력분야 시민만족도 조사'의 일환으로 실시됐으며 온라인 및 전화를 통해 만 19세 이상 인천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