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이 총재는 경기 회복 속도와 물가상승률의 추이에 따라 금리를 두 차례까지 올릴 수 있음도 시사했다.
24일 오전 이 총재는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물가안정 목표 운영상황 설명회에서 "연내 늦지 않은 시점에 통화정책을 질서 있게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가 금리 인상 시점을 '연내'로 못 박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11일 이 총재는 한은 창립 71주년 기념사 당시에는 금리 인상과 관련해 "하반기 이후 역점 사항"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 총재는 "지난해 코로나19로 실물경제가 급격히 위축되고 물가상승률이 0%에 근접했던 상황에 맞춰서 통화정책을 이례적으로 확대함에 따라 지금의 금리 수준이 결정된 것"이라며 "경제 회복세에 맞춰 정상화하는 것은 당연한 과정"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 총재는 금융 불균형에 대한 우려를 강조했다. 최근 자신시장으로 자금 쏠림이 뚜렷해지면서 가계부채가 가파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금융 불균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할 필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며 "금융 불균형에 대한 대응을 소홀히 하게 되면 중기적으로 경기와 물가에 대단히 큰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된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10일 박종석 한은 부총재보가 "금리를 한두 번 올리게 된다고 하더라도 긴축이라고 볼 수 없다"고 언급하면서, 일각에서는 한은이 이 총재의 임기가 만료되는 내년 3월 이전에 두 차례 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이 총재는 "지금의 통화정책이 실물경제에 비해 상당히 완화적이라고 본다"며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완화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라는 데는 (박 부총재보와) 의견을 같이한다"고 답했다.
이 총재는 "시장에서 인상 시점과 횟수에 관해서 다양한 예측들이 나오고 있다"며 "통화정책을 언제부터 어떤 속도로 정상화할지는 결국 경제 상황에 달려 있다"고도 했다. 경기 회복세가 본격화되고 높은 물가상승률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경우 금리 인상이 한 번에 그치지 않을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언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0.50%인 기준금리를 오는 10월 0.25% 포인트 높인 뒤 내년 초 추가로 0.25% 포인트 높이는 방식이 유력하다.
최근 정부와 여당이 30조원 규모의 2차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추진하는 가운데 대규모 재정 투입이 통화정책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시각에 대해서 이 총재는 "'엇박자'가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운영"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전체적인 경기 회복세는 뚜렷하지만 부문별로는 대면서비스업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고용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상황"이라며 "통화정책은 저금리 장기화에 따른 부작용을 제거하는 한편 재정정책은 취약 부문 등을 집중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한 정책조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등이 금리 정상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 재정정책으로 커버한다면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24일 오전 이 총재는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물가안정 목표 운영상황 설명회에서 "연내 늦지 않은 시점에 통화정책을 질서 있게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가 금리 인상 시점을 '연내'로 못 박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11일 이 총재는 한은 창립 71주년 기념사 당시에는 금리 인상과 관련해 "하반기 이후 역점 사항"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 총재는 "지난해 코로나19로 실물경제가 급격히 위축되고 물가상승률이 0%에 근접했던 상황에 맞춰서 통화정책을 이례적으로 확대함에 따라 지금의 금리 수준이 결정된 것"이라며 "경제 회복세에 맞춰 정상화하는 것은 당연한 과정"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 총재는 금융 불균형에 대한 우려를 강조했다. 최근 자신시장으로 자금 쏠림이 뚜렷해지면서 가계부채가 가파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금융 불균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할 필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며 "금융 불균형에 대한 대응을 소홀히 하게 되면 중기적으로 경기와 물가에 대단히 큰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시장에서 인상 시점과 횟수에 관해서 다양한 예측들이 나오고 있다"며 "통화정책을 언제부터 어떤 속도로 정상화할지는 결국 경제 상황에 달려 있다"고도 했다. 경기 회복세가 본격화되고 높은 물가상승률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경우 금리 인상이 한 번에 그치지 않을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언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0.50%인 기준금리를 오는 10월 0.25% 포인트 높인 뒤 내년 초 추가로 0.25% 포인트 높이는 방식이 유력하다.
최근 정부와 여당이 30조원 규모의 2차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추진하는 가운데 대규모 재정 투입이 통화정책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시각에 대해서 이 총재는 "'엇박자'가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운영"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전체적인 경기 회복세는 뚜렷하지만 부문별로는 대면서비스업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고용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상황"이라며 "통화정책은 저금리 장기화에 따른 부작용을 제거하는 한편 재정정책은 취약 부문 등을 집중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한 정책조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등이 금리 정상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 재정정책으로 커버한다면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