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대학은 7만4000명의 사용자가 1인당 평균 100GB(기가바이트)의 저장공간을 사용하고 있는데, 파일을 삭제해 1인당 5GB로 줄여야 합니다.”
최근 서울대 정보화본부는 교직원, 학생에게 이 같은 내용을 공지했다. 구글이 대학 등 주요기관에 무료로 제공하던 ‘구글 워크스페이스 포 에듀케이션’을 내년 7월부터 유료 서비스로 전환하겠다고 통보했기 때문이다. 구글 워크스페이스는 구글의 지메일, 캘린더, 드라이브, 구글 클래스룸 같은 주요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교육기관용 구글 워크스페이스는 저장용량에 제한이 없어 서울대뿐만 아니라 고려대, 경희대 등 국내 주요 대학들이 2019년부터 구글 워크스페이스를 도입해 사용해 왔다.
이외에도 구글은 구독자가 1명인 유튜브 계정의 동영상에도 광고를 붙이기 시작했다. 기존에는 최근 1년간 동영상 시청 시간 4000시간 이상, 구독자 1000명 이상인 유튜브 채널의 영상에만 광고가 붙었다. 이는 유튜브를 무료로 이용하는 사람은 무조건 광고를 시청해야 한다는 의미다. 광고 시청을 원하지 않으면 월정액 서비스 ‘유튜브 프리미엄’에 가입해야 한다. 구글은 오는 10월부터 앱마켓 ‘구글플레이’에도 수수료가 높은 인앱결제 방식을 강제 적용하겠다고 밝혀 국내외 인터넷업계에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다.
업계 일각에선 검색과 클라우드, 동영상, 모바일 운영체제(OS)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한 구글의 일방적인 유료화 공세가 더 거세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가격, 정책 변경은 기업의 자유이지만, 시장지배력이 있는 사업자의 경우 시장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점진적인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김용희 숭실대 교수는 “빅테크 기업이 각 분야의 시장에서 노력한 만큼의 시장지배력을 인정받아야 하는 것은 맞지만, 이들의 정책 변경이 불러오는 파급력이 큰 만큼 이해관계자 중심의 결정도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