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취임 후 3번째 백악관 정상회담 상대가 우크라이나로 확정됐다. 앞서 한국, 일본 정상과 백악관에서 만나 중국 등 아시아 지역 의제에 집중했던 바이든 대통령은 다시 유럽 지역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연이어 만나는 바이든 대통령이 7년째 이어지고 있는 양국의 크림반도 군사 분쟁을 어떻게 풀어나갈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7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은 젠 사키 대변인 명의로 발표한 성명을 통해 이날 바이든 대통령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한 자리에서 그를 올여름 후반 미국 워싱턴DC에 초청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성명은 "이날 양국 정상은 미국이 공유하고 있는 민주적인 가치와 우크라이나의 '유럽-대서양주의' (진출) 열망을 바탕으로 젤렌스키 대통령의 부패 개혁 의제를 지원한다는 '전략적 협력 관계'를 논의했다"면서 "미국은 크림반도에서 이어지고 있는 러시아의 침략 위협에 맞서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호에 대한 의지를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키 대변인은 바이든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90만회 분 상당의 코로나19 백신을 제공하는 동시에 올여름 후반 젤렌스키 대통령을 백악관으로 초청했다고 덧붙였다.
이후 로이터는 젤렌스키 대통령으로부터 워싱턴DC 초청 사실을 재확인하고 "오는 7월로 예정한 바이든 대통령과의 만남을 고대하고 있다"면서 감사의 뜻을 전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2019년 당선된 젤렌스키 대통령은 아직 백악관을 방문한 적이 없다.
이에 따라,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후 3번째 백악관 정상회담을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월 20일 취임한 후 4월 중순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와 첫 백악관 정상회담을 진행했고, 2번째로는 지난달 문재인 대통령과 회담했다.
우크라이나와의 3번째 백악관 정상회담은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 후 첫 해외 순방 일정인 유럽 방문 직후 진행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오는 11~13일 영국 콘월을 방문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며, 이후 14일과 15일에는 벨기에 브뤼셀에서 각각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와 유럽연합(EU) 정상회의를 진행한다.
특히, 16일에는 스위스 제네바로 장소를 옮겨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독대하는데, 이날 미·러 양국 정상의 회담 결과는 7월 예정한 미·우크라 회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 6일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와의 단독 대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에게 "푸틴과의 정상회담 전에 자신을 먼저 만나야 한다"고 제안한 상태라고 밝혔으며, 매체는 7~13일 주간 중 백악관과 젤렌스키 대통령이 통화를 할 수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해당 대담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 행정부가 결국 독일과 러시아의 공동 해저 가스관 연결 사업인 '노드-스트림2'를 승인한 것을 두고 "미국과 독일의 관계가 중요한 것은 알지만, 그 사이에서 얼마나 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이 생명을 잃어야 하는가"라며 실망감을 표하고 바이든 대통령의 재고를 촉구했다.
이날 백악관은 해당 대담 기사에 대해 언급하진 않았지만, 성명 발표에 앞서 열린 일일 정례 기자회견에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참석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각각에 대한 견제와 지원 의지를 비중 있게 설명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바이든 대통령의 유럽 순방 일정을 정리하며 G7 정상회의 의제와 목표를 밝히는 동시에 미·러 정상회담이 결코 국제사회 무대에서 푸틴 대통령을 주목받게 하는 자리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미·러 정상회담 일정이 확정된 후 언론들이 '미국은 실익을 보지 못할 회담을 추진하면서 푸틴 대통령만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이득을 챙길 것'이라 비판한 내용을 의식한 것이다.
그는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의 이익과 가치를 수호하고 가장 효과적으로 직접 전달할 수 있는 적임자"라면서 러시아의 선거 개입 의혹과 해킹 공격 배후 의혹 등 양국이 풀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설리번 보좌관은 "미리 계획했던 대로 이날 기자회견 직전 바이든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이 통화했다"면서 러시아의 크림반도 침략 사태를 언급하는 동시에 "우크라이나의 영토와 주권을 지지한다"면서 젤렌스키 대통령의 백악관 초청 사실을 공개했다.
푸틴 러시아 정권은 지난 2014년 2월 20일~3월 26일까지 약 1개월에 걸쳐 우크라이나 크림반도에 대한 군사 행동을 개시하고 해당 지역 일부를 강제 합병했다. 양국은 지난해 7월 휴전에 합의했지만, 올해 들어 산발적인 무장 충돌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7년째 군사 대치 상황을 이어가고 있다.
7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은 젠 사키 대변인 명의로 발표한 성명을 통해 이날 바이든 대통령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한 자리에서 그를 올여름 후반 미국 워싱턴DC에 초청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성명은 "이날 양국 정상은 미국이 공유하고 있는 민주적인 가치와 우크라이나의 '유럽-대서양주의' (진출) 열망을 바탕으로 젤렌스키 대통령의 부패 개혁 의제를 지원한다는 '전략적 협력 관계'를 논의했다"면서 "미국은 크림반도에서 이어지고 있는 러시아의 침략 위협에 맞서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호에 대한 의지를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키 대변인은 바이든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90만회 분 상당의 코로나19 백신을 제공하는 동시에 올여름 후반 젤렌스키 대통령을 백악관으로 초청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후 3번째 백악관 정상회담을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월 20일 취임한 후 4월 중순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와 첫 백악관 정상회담을 진행했고, 2번째로는 지난달 문재인 대통령과 회담했다.
우크라이나와의 3번째 백악관 정상회담은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 후 첫 해외 순방 일정인 유럽 방문 직후 진행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오는 11~13일 영국 콘월을 방문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며, 이후 14일과 15일에는 벨기에 브뤼셀에서 각각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와 유럽연합(EU) 정상회의를 진행한다.
특히, 16일에는 스위스 제네바로 장소를 옮겨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독대하는데, 이날 미·러 양국 정상의 회담 결과는 7월 예정한 미·우크라 회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 6일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와의 단독 대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에게 "푸틴과의 정상회담 전에 자신을 먼저 만나야 한다"고 제안한 상태라고 밝혔으며, 매체는 7~13일 주간 중 백악관과 젤렌스키 대통령이 통화를 할 수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해당 대담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 행정부가 결국 독일과 러시아의 공동 해저 가스관 연결 사업인 '노드-스트림2'를 승인한 것을 두고 "미국과 독일의 관계가 중요한 것은 알지만, 그 사이에서 얼마나 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이 생명을 잃어야 하는가"라며 실망감을 표하고 바이든 대통령의 재고를 촉구했다.
이날 백악관은 해당 대담 기사에 대해 언급하진 않았지만, 성명 발표에 앞서 열린 일일 정례 기자회견에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참석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각각에 대한 견제와 지원 의지를 비중 있게 설명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바이든 대통령의 유럽 순방 일정을 정리하며 G7 정상회의 의제와 목표를 밝히는 동시에 미·러 정상회담이 결코 국제사회 무대에서 푸틴 대통령을 주목받게 하는 자리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미·러 정상회담 일정이 확정된 후 언론들이 '미국은 실익을 보지 못할 회담을 추진하면서 푸틴 대통령만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이득을 챙길 것'이라 비판한 내용을 의식한 것이다.
그는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의 이익과 가치를 수호하고 가장 효과적으로 직접 전달할 수 있는 적임자"라면서 러시아의 선거 개입 의혹과 해킹 공격 배후 의혹 등 양국이 풀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설리번 보좌관은 "미리 계획했던 대로 이날 기자회견 직전 바이든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이 통화했다"면서 러시아의 크림반도 침략 사태를 언급하는 동시에 "우크라이나의 영토와 주권을 지지한다"면서 젤렌스키 대통령의 백악관 초청 사실을 공개했다.
푸틴 러시아 정권은 지난 2014년 2월 20일~3월 26일까지 약 1개월에 걸쳐 우크라이나 크림반도에 대한 군사 행동을 개시하고 해당 지역 일부를 강제 합병했다. 양국은 지난해 7월 휴전에 합의했지만, 올해 들어 산발적인 무장 충돌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7년째 군사 대치 상황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