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 매출액이 코로나19 여파로 전년 대비 2.6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이 31일 발간한 산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110개 자동차 부품기업의 총매출액은 전년 대비 1조9513억원 감소한 70조6296억원을 기록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지난해 글로벌 자동차 판매가 13.8%, 국내 부품 수출이 17.3% 감소했지만 국산차 내수가 4.7% 증가하면서 부품업계 매출 감소 폭이 작았다고 설명했다.
고용인원 파악이 가능한 105개사를 대기업(62개)과 중소기업(43개)으로 구분하면 대기업 매출액은 2.67%, 중소기업은 6.61% 감소했다. 대기업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2019년 4.08%에서 지난해 2.99%로 하락했고, 중소기업의 영업이익률은 2.02%에서 1.34%로 떨어졌다.
110개사 중 지난해 적자를 낸 기업은 40개사(36.4%)로 2019년 대비 17개사가 증가했다. 70개사는 고용 인원이 감소했고, 49개사는 평균 임금이 하락했다.
110개사 총매출액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6.99%에서 지난해 6.76%로 감소했다.
한국자동차연구원 관계자는 "대기업 점유 비중이 증가하면서 대기업·중소기업 간 격차가 커졌다"며 "미래차 전환과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 양성으로 미래차 공급 생태계를 차질없이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이 31일 발간한 산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110개 자동차 부품기업의 총매출액은 전년 대비 1조9513억원 감소한 70조6296억원을 기록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지난해 글로벌 자동차 판매가 13.8%, 국내 부품 수출이 17.3% 감소했지만 국산차 내수가 4.7% 증가하면서 부품업계 매출 감소 폭이 작았다고 설명했다.
고용인원 파악이 가능한 105개사를 대기업(62개)과 중소기업(43개)으로 구분하면 대기업 매출액은 2.67%, 중소기업은 6.61% 감소했다. 대기업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2019년 4.08%에서 지난해 2.99%로 하락했고, 중소기업의 영업이익률은 2.02%에서 1.34%로 떨어졌다.
110개사 총매출액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6.99%에서 지난해 6.76%로 감소했다.
한국자동차연구원 관계자는 "대기업 점유 비중이 증가하면서 대기업·중소기업 간 격차가 커졌다"며 "미래차 전환과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 양성으로 미래차 공급 생태계를 차질없이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