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중소기업연구원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지난해 3월부터 최근까지 총 7차례에 걸쳐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 7번의 경기부양책에서 중소기업 관련 대책은 중소기업 근로자 급여보호프로그램(PPP), 소상공인 지원, 현금지원, 실업수당 확대 등을 중심으로 마련됐다.
2단계 대응은 지난해 12월 5차 경기부양책을 발표하면서 본격화했다. 5차 때는 PPP 2차 대출을 허용했고, 연방정부 최초로 임대료를 지원했다. 올해 3월 1조9000억 달러 규모의 6차 경기부양책에는 소상공인과 취약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지원하는 내용이 담겼다. △PPP 적용대상과 예산 확대 △경제피해 재난대출(EIDL) 추가 예산 승인 △레스토랑 활성화 기금(임대료, 급여, 시설비, 운영비 등) 지원 △코로나19에 영향을 받은 영업중단 시설에 대한 보조금(SVO) 지원 △소외지역과 소수민족 소유기업 지원(SSBCI) 강화 등이다. 같은 달 발표된 2조2000억원 규모의 인프라 투자계획(7차)은 중소기업·제조업 활성화와 연구개발(R&D), 미래직업 교육 등의 사업이 추진된다. △중소기업의 신용, 벤처캐피털, R&D에 대한 자금 접근성 제고 △반도체 분야 제조시설과 R&D투자, 자동차 분야 공급망 현대화 등 제조업 투자 확대 △혁신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국가 R&D 지원 확대 △청정에너지, 제조 등 고수요 분야 중심으로 실직자 재교육 지원 등이다.
노민선 중기연구원 미래전략연구단장은 “코로나19를 재난으로 인식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과감한 지원책을 마련했다”며 “근로자 개인과 가계를 대상으로 지원을 강화하는 동시에 R&D·인적자원 등 혁신 투자 확대를 추진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