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이하 문체부)가 문화다양성 확산을 위해 힘쓰고 있다.
문체부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박종관·이하 문예위)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김대관·이하 문광연)과 함께 6일 오후 서울 중구 밀레니엄 힐튼 서울에서 문화다양성 확산을 위한 공동 연찬회를 개최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추진한 연찬회에서는 문화다양성 실태조사와 이를 분석해 마련한 문화다양성 지침(매뉴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실천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연찬회에는 황희 문체부 장관과 지난 2월에 임명된 문화다양성위원회(위원장 한건수) 위원을 비롯해 문광연, 문예위, 15개 광역 지역문화재단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문체부와 문광연은 만 15세 이상 남녀 3019명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실시한 ‘대국민 문화다양성 인식 조사’ 결과를 공유했다.
조사 결과, 문화다양성과 사회적 차별 경험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는 문화다양성 증진 시 ‘문화·예술 경쟁력 강화’가 가장 기대된다고 응답했다.
사회갈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장애(84.9%), 성별(80.6%), 세대(76.6%)에 따른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론에서 집단을 묘사하는 방식에서 백인은 긍정적인 모습으로 묘사하는 데 반하여 중국동포(조선족), 성소수자는 부정적으로 모습으로 나타낸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차별을 목격한 경험에 대하여는 장애인(35.0%), 외국인근로자(25.7%), 중국동포(조선족, 23.9%)에 대한 차별이 이루어지는 것을 목격했다고 응답했다. 본인이 경험한 차별에 대하여는 세대(연령)(39.0%), 성별(36.4%), 학력(26.7%)에 따른 차별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문화예술 분야별 접근성에 관해서는 방송프로그램(드라마 등), 영화는 해당 분야에 대해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어 접근성이 높다고 느끼는 데 반해 무용, 미술(응용미술 포함) 분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낮다고 느낀다고 응답했다.
155개 문화기관을 대상으로 문화다양성 실태를 조사한 결과, 조직의 구성원 중 장애인은 3%, 여성은 51%로, 인사 운영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나, 관리자급에서는 장애인은 0.1%, 여성은 25%로 그 비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문화기관의 문화다양성 지침에서는 문화다양성 관점을 고려해 인사를 운영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담았다.
또한 사업 기획 시에도 기관과 소관 분야의 특성을 고려해 소수(소외) 분야의 범주를 정의하고 구체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소장품과 소장 자료 선정 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예술가와 소수(소외) 분야가 포함될 수 있도록 문화다양성 관점을 고려한 기준을 마련하도록 제시했다.
공연장 대관 측면에서도 독립예술과 전통문화예술 분야에 대관 우선권을 부여하고 신체적 약자를 위한 별도 좌석 마련 등 문화시설 접근성 측면에서도 다양성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문화기관 관계자는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 확산과 필요성에 공감하며, 문화다양성이 문화기관 내에서 더욱 확산할 수 있도록 관련 지침의 확산과 정부의 별도 예산 지원 등을 요청했다.
문화다양성위원들은 한국 사회의 포용성을 확산하고 문화다양성으로 조직의 역량이 향상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 전반에 문화다양성 지침을 적용해 줄 것을 요구했다.
황희 장관은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이 240만명을 넘었고, 등록 장애인이 261만명,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803만명으로, 문화다양성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라며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국가 간 이동, 사회적 만남이 제한되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국민들에게 문화를 전달하고 알리는 문화기관이 앞장서 문화다양성을 확산하기 위해 더욱 노력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