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추가 계약을 포함한 상당수 백신들의 도입 일정이 사실상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전 세계적 코로나19 백신 각축전으로 향후 국내 백신 수급 상황을 좀처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이처럼 일정이 확정되지 않은 도입 방안이 자칫 집단면역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는 비판마저 나온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연말까지 노바백스 백신 원액 생산을 맡고, 내년까지는 완제 충전을 하게 돼 있다. 만약 계약이 연장될 시 원액 생산과 완제 충전을 할 수 있는 기간은 더 늘어난다. 계약 연장을 통해 노바백스 백신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하면, 우리가 자국 생산물을 갖고 국민에게 맞힐 수 있는 시설과 기술을 갖추는 것으로 판단된다는 것이 정부 논리다.
문제는 올해 3분기부터 도입되는 노바백스의 구체적 도입 시기가 여전히 미정이라는 점이다. 이날 권 장관은 "노바백스사와 계약에 의한 공급 물량을 차질 없이 받는 데 대해 충분히 논의를 했다"면서도 "구체적인 일정은 말씀드릴 수 없다는 점을 양해해달라. 적정한 시기에 인도받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차질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노바백스와 계약을 통해 확보한 백신은 4000만회분(2000만명분)이며, 3분기 이내 도입 예정 물량은 최대 2000만회분(1000만명분)이다. 물량의 규모가 매우 크고 3분기도 2개월 앞으로 다가온 시점인데, 장관이 노바백스 CEO와 만났음에도 불구하고 일정에 대한 구체적 언급을 피한 것이다.
노바백스 백신 사용 자체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적지 않다.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등은 이미 세계 각국에서 허가를 받아 접종되고 있지만, 아직 어느 나라도 노바백스 백신을 사용하고 있진 않은 상태다.
앞서 정부가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4000만회분(2000만명분)을 추가 확보한 사안과 관련해서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이 역시 백신 도입 일정이 여전히 구체적으로 잡혀있지 않다.
정부는 추가 확보한 화이자 백신이 3분기부터 국내에 들어올 것이라 설명했지만, 비밀유지 조항을 이유로 정확한 도입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다. 게다가 2분기 국내에 들어온다고 했던 모더나, 얀센 백신 도입 시기도 역시 모두 미정이다.
전문가들은 백신이 실제로 적시에 국내 유입되기 전까지는 집단면역을 장담할 수 없다고 조언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현시점에서는 백신 추가 확보를 위한 노력보다는, 실제로 백신이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것이 관건"이라며 "특히 화이자의 경우 우리뿐만 아니라 유럽연합(EU), 일본 등 계약 경쟁국들이 많다. 화이자 백신이 적기에 실제로 도입될지 여부를 끝까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수도 "최근 국내 백신 수급 문제가 불거지면서 정부가 국민을 안심시키기 위한 차원에서 백신 확보에 대한 실효성 없는 소식을 계속 전달하는 것은 아닌가 싶은 의문이 든다"며 "정부의 바람대로 11월 집단면역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3분기가 관건인데, 문제는 확정되지 않은 추가 계약 물량이 모두 이 시기에 몰려있다는 점이다. 어느 하나라도 계획이 어긋나면 집단면역은 사실상 물거품이 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