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 함태호 오뚜기 명예회장이 별세하면서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있는 오뚜기. 그의 죽음을 계기로 ‘대규모 상속세 성실 납부 약속’, ‘정규직 비율 99%’, ‘선천성 심장병 어린이 후원 사업’ 등 선행이 회자된 덕분이다.
기업 윤리에 대한 소비자의 눈높이가 높아지면서 위 사례와 같이 준법경영이 기업의 생존에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화두로 떠오르면서 기업 내 준법 시스템을 더욱 촘촘히 하는 분위기다. 삼성과 현대자동차, SK, LG 등 4대 그룹이 선봉에 서고 있으며 국내 기업 전반으로 퍼지고 있다.
지난해 2월 공식 출범한 삼성 준법감시위원회가 대표적인 예다. 외부 독자 기구로 삼성전자와 삼성SDI 등 삼성의 주요 7개 계열사의 준법 감시활동을 하고 있다.
김지형 전 대법관 등 외부 인사 6명과 이인용 삼성전자 CR 사장 등 총 7인으로 구성됐다. 위원장은 김 전 대법관이 맡고 있다.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공을 들였다는 뜻이다.
권한도 막강하다. 합병과 기업공개를 포함해 관계사들과 특수관계인 사이에 이뤄지는 각종 거래와 조직 변경 등에 대한 보고를 받고 자료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시정조치 등 의견도 제시할 수 있으며, 경영진이 준법의무를 위반했을 때는 직접 조사할 수도 있다.
준법감시위 출범에 발맞춰 같은 해 내부 감시 체계도 더욱 강화했다. 삼성은 주요 계열사 준법감시조직을 최고경영자(CEO) 직속 조직으로 바꿨다. 전담조직이 없던 일부 계열사들은 독립적인 준법감시 전담부서도 만들었다.
현대차그룹은 준법감시 제도에 더해 온라인 감시망까지 촘촘히 하며 경영진과 구성원의 일탈 가능성을 낮춘다. 투명경영 정착 실현을 목표로 운영하고 있는 현대차 사이버감시실의 경우 타사의 모범이 되고 있다. 사이버감시실은 문서조작 및 부정, 직권남용(갑질), 윤리규정 위반 등에 대해 내·외부 관계자가 손쉽게 알릴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제보 시스템이다. 현대차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이메일 쓰듯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다.
현대차그룹은 이뿐만이 아니라 준법경영을 위해 2015년 이사회 내에 사외이사만으로 구성된 투명경영위원회를 현대차에 처음으로 도입했다. 현재 기아, 현대모비스 등 주요 계열사들도 운영하고 있다. 비상장사인 현대트랜시스와 현대엔지니어링의 경우에도 지난해부터 외부 전문가 1인을 사외이사로 선임하고 있다.
이와 함께 현대차그룹은 다양한 지원활동으로 임직원들의 준법의식을 내재화하고 있다. 준법지원책임자 제도, 준법자가점검 실시, 준법가이드라인 제작, 준법교육 등이 대표적인 예다. 준법지원책임자는 소속부서의 준법통제를 수행해 회사가 관련 법률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하는 담당자다.
SK그룹은 수장인 최태원 회장이 앞장서 사회적 책임을 강조할 정도로 위로부터 변화가 확연하다. 그의 경영철학인 ‘이윤보다는 행복과 사회적 책임’을 SK하이닉스와 SKT 등 주요 계열사의 정관에 넣었을 정도다. 또한 최 회장의 뜻에 따라 (주)SK와 SKC 등은 지난달 ESG 위원회를 설치해 준법경영과 사회적 책임을 더욱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SK그룹 관계자는 “그룹 고유의 경영 철학인 ‘SKMS를 근간으로 해 준법경영 및 지침도 시대 변화에 맞춰 지속적으로 개정하고 있다”며 “준법경영 체계의 고도화를 추진하고,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보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LG그룹은 역사 깊은 기존의 준법경영 시스템을 변화·발전시키며 업계의 모범이 되고 있다. 큰 틀에서는 이사회 내 내부거래위원회(사외이사 3인, 사내이사 1인)가 LG그룹의 선을 지키고 있다. 이 조직은 공정거래법상 사익편취 규제 대상 거래, 대규모 내부거래, 상법상 자기거래, 회사 사업기회 유용, 특수 관계인과의 거래 등에 대해 투명성 및 적정성을 심의하는 곳이다. 이와는 별도로 이사회 내 감사위원회도 두고 있다. 올해 사외이사를 3인에서 4인으로 확대하며 독립성을 더욱 높였다.
두산(감사위원회·내부거래위원회·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현대중공업(준법경영실), 대우조선해양(윤리쇄신위원회), 효성(준법지원팀), 영풍(준법경영팀) 등의 그룹도 준법경영을 담당하는 조직을 별도로 운영·발전시키며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ESG위원회를 설치해 감시망을 더욱 확대하는 그룹도 많다. 포스코, 한화, GS 등 올해 ESG위원회를 신설한 그룹만 해도 수두룩하다.
재계 관계자는 “과거 고도성장 시기에는 기업들이 불법을 자행하고도 일자리와 이익을 창출하면 적당히 넘어가기도 했다”며 “하지만 소비자의 준법 의식이 높아지면서 작은 실수로도 회사가 망할 수 있는 시대가 와 기업들이 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