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4/27/20210427171049261040.jpg)
한국가스공사가 자사 보유 액화천연가스(LNG) 선박에 대한 정기 입거수리를 국내 조선소에 위탁하기로 했다고 5일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산업통상자원부는 2021년부터 2034년까지 장기 천연가스 수요 전망과 도입 계획 등을 담은 '제14차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을 확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수급계획은 2년마다 수립한다. 이번 계획은 안정적인 가스 수급이 목표다.
산업부는 천연가스 수요가 2021년 4169만t에서 2034년 4797만t으로 연평균 1.09%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가운데 도시가스용 수요는 2021년 2168만t에서 2034년 2709만t으로 연평균 1.73% 증가한다.
또 가정·일반용 수요 증가세는 둔화하는 반면 산업용 수요와 액화천연가스(LNG) 벙커링, 수소차 등 신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부는 발전용 천연가스 수요의 변동성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기존의 '기준수요' 전망 외에 '수급관리 수요' 전망을 추가로 내놓았다.
수급관리 수요는 국내총생산(GDP), 기온, 기저발전 이용률 등을 고려한 것으로 기준수요보다 더 폭넓은 개념이다. 이는 천연가스 공급 인프라 확충 등의 근거로 사용된다.
발전용 수급관리 수요는 2021년 2391만t에서 2034년 2544만t으로 연평균 0.4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른 총 천연가스 수급 관리 수요는 2021년 4559만t에서 2034년 5253만t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산업부는 천연가스 물량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도입선 다변화도 계획했다. 판매자가 구매자의 도입물량 도착지를 지정, 도착지 이외의 지역으로는 물량 이전 등 재판매를 금지하는 '도착지제한'을 완화해 유연성을 확보할 방침이다.
유가 변동에 따른 가격변동 완화를 위해 도입 가격산정방식을 △유가 연동 △미국 가스허브지수(Henry Hub) 연동 △하이브리드(유가+HH)로 다양화한다. 5~10년의 중기계약도 적극 활용한다.
아울러 에너지 안보, 경제협력 등 전략적 협력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천연가스 도입을 추진한다. 기업 간·정부 간 수급협력 및 수급관리 역량도 높인다. 산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연료대체계약을 확대한다.
가스공사는 국내 직수입자나 해외구매자와 물량교환(스와프)을 통한 수급협력을 강화한다. 이상 한파 등 예상치 못한 수요 증가 대응을 위해 가스공사의 비축의무량도 상향할 계획이다.
공급 인프라도 개선한다. 안정적인 천연가스 수급을 뒷받침하고자 가스공사 제5기지(당진) 건설 등 2034년까지 총 1840만㎘의 저장용량을 확보한다. 신규 수요처 공급 등을 위해 천연가스 주배관 789㎞를 추가 건설, 2034년까지 주배관을 총 5734㎞로 확대한다.
가스공사는 공급설비 확충과 공급 인프라의 안전성 강화를 위해 2034년까지 총 5조5946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올해까지 태백·청양 등 4개 지자체에 도시가스를 보급하고 화천·청송 등 13개 군에 대해서는 LPG 배관망을 보급한다. 이를 통해 전국 모든 지자체에 대한 가스공급 체계 구축을 완료한다.
LNG 벙커링, 수소산업 등 천연가스 신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과 인프라 확충에도 나선다. 이를 위해 LNG 벙커링 터미널 건설, 벙커링선 건조 지원을 추진하며 수소제조 사업자를 위한 전용요금제를 도입한다. 기존에 도시가스사를 통해 천연가스를 공급받는 수소제조 사업자에 가스공사 직공급을 허용하는 천연가스 공급체계도 마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