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공공부문의 중소기업제품 구매목표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7일 국무회의에서 ‘2021년도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목표(안)’가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올해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등 849개 공공기관의 구매목표액은 지난해보다 10조원 늘어난 113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06년 제도 시행 이후 최고치다.
중소기업제품 구매목표제도는 공공재원이 투입되는 조달시장에서 중소기업제품, 기술개발제품, 여성기업·장애인기업·창업기업 제품의 의무구매 비율을 법으로 정해 중소기업의 판로를 지원하는 제도이다.
중소기업제품은 총구매액의 50% 이상, 기술개발제품은 중소기업제품 중 물품구매액의 15% 등을 충족해야 한다. 여성기업제품은 물품·용역의 경우 구매총액의 5% 이상, 공사는 3% 이상이다. 장애인기업제품과 창업기업제품은 각각 1%, 8% 이상이다.
지난해 공공기관의 중소기업제품 구매실적은 79.8%로 당초 구매목표 비율의 77.6%를 초과 달성했다. 구매금액은 116조3000억원으로 2년 연속 100조원을 돌파했다.
한편, 중기부는 지난해 구매 우수기관으로 △충북 괴산군 △인천광역시 △화성시 △경북교육청 △서울특별시 등이 선정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7일 국무회의에서 ‘2021년도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목표(안)’가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올해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등 849개 공공기관의 구매목표액은 지난해보다 10조원 늘어난 113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06년 제도 시행 이후 최고치다.
중소기업제품 구매목표제도는 공공재원이 투입되는 조달시장에서 중소기업제품, 기술개발제품, 여성기업·장애인기업·창업기업 제품의 의무구매 비율을 법으로 정해 중소기업의 판로를 지원하는 제도이다.
지난해 공공기관의 중소기업제품 구매실적은 79.8%로 당초 구매목표 비율의 77.6%를 초과 달성했다. 구매금액은 116조3000억원으로 2년 연속 100조원을 돌파했다.
한편, 중기부는 지난해 구매 우수기관으로 △충북 괴산군 △인천광역시 △화성시 △경북교육청 △서울특별시 등이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