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스카이72골프클럽(골프장) 단전 조치.' 지난 16일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배포한 보도자료 내용이다. 지난 1일 단수(중수도 중단)에 이은 단전 예고였다.
공항공사는 "전기사용약관에 따르면, 사용자가 실시협약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에 전기 공급을 즉시 정지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며 제19조(사용자의 책임으로 인한 공급의 정지)를 설명했다. 제19조 4항에는 '실시협약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라고 적혀 있다.
단수에 이은 단전 예고는 김경욱 공항공사장의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그는 지난 1일 스카이72 진입로에서 "국민의 재산이 사적 이익을 위해 악용되는 것을 바로잡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이에 스카이72 측은 "단전 예고는 초법적인 갑질"이라며 반박하고, 공항공사의 초법적인 조치에 맞서 합법적 대응(형사 고소, 손해배상 청구 등)을 예고했다.
스카이72는 "양사 간 법적 소송 중인 상황에서 국민의 기본권인 전기로 위협하고 있다"며 "이는 '갑질'이다. 정당 행위로 포장하는 데 과연 공기업이 할 수 있는 일인지 정당성에 의문이 생긴다. 약관(제19조 4항)은 사용자에게 통보도 없이 개정됐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불공정 약관으로 시정 조치를 받은 바 있다"고 말했다.
골프장 이용에 불편을 겪은 내장객을 위해서는 골프장 이용료(그린피) 면제권 등을 주기로 했고, 야간에 일할 기회를 잃은 캐디에게는 캐디피를 지원하기로 했다.
스카이72는 공항공사의 강행으로 BMW드라이빙센터도 피해를 보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에 공항공사는 즉각 "자사와 계약관계에 있는 곳의 영업 차질 우려에 대해서는 비도덕적 행태에 우려를 표명한다. 상수도 공급은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틀 뒤인 18일 자정. 환했던 스카이72에 어둠이 내려앉았다. 공항공사의 예고대로 전기가 끊긴 것이다.
이에 대해 스카이72는 "국민의 기본권인 전기 제공이 중단됐다. 스카이72 야간 골프와 드림골프연습장의 야간 운영도 중지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스카이72는 "단전으로 인한 피해는 시간이 지날수록 늘어날 예정이다. 어떤 피해가 추가로 발생할지 현재로서는 예측이 불가능하다. 스카이72는 단전으로 일할 기회를 잃은 캐디들에게 캐디피를 지원할 계획이다. 1일 캐디피는 1000만원에 달한다"고 덧붙였다.
단전 첫날 오후 8시경, 스카이72가 준비한 자체 발전기 1대에서 불이 났다. 소방당국에서 추정한 재산 피해는 약 245만원이다.
스카이72는 "공항공사의 단전으로 자체 발전기를 가동하다가 화재가 발생했다"며 "야간 골프 운영을 중단해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스카이72 관계자에 따르면 자체 발전기로 전기를 돌릴 수 있는 시간은 5~6시간에 불과하다. 이후부터는 방범 및 화재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다. 화재용 자동 물뿌리개(스프링클러) 등이 멈추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스카이72 측은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야간에 발전기가 계속 돌 수는 없다. 캐디피 지원도 하루 1000만원씩 한 달이면 3억원이다. 야간 운영이 가능할 때까지 지원할 것"이라며 "단수·단전에 이어 '도로 통제'에 관한 이야기가 몇몇 매체를 통해 나오고 있다. 기본권이 침해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