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4/13/20210413143219658468.png)
막걸리를 빚고 나누는 '막걸리 빚기 문화'가 국가무형문화재가 된다. ‘막걸리 빚기 문화’는 2019년 ‘숨은 무형유산 찾기’와 ‘국민신문고 국민제안’을 통해 국민이 직접 국가무형문화재를 제안해 지정 예고되는 첫 사례다.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13일 “‘막걸리 빚기 문화’를 신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했다”고 전했다.
이번 지정 예고의 대상은 막걸리를 빚는 작업은 물론이고, 다양한 생업과 의례, 경조사 활동 등에서 나누는 전통 생활관습까지 포괄한 것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4/13/20210413143443157827.png)
막걸리를 거르는 모습 [사진=국립민속박물관 제공]
‘막걸리 빚기 문화’는 오랜 역사를 갖고 한반도 전역에서 전승·향유되고 있다는 점, 삼국 시대부터 각종 고문헌에서 막걸리 제조방법과 관련된 기록이 확인된다는 점, 식품영양학, 민속학, 역사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학술연구 자료로서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국가무형문화재 신규종목으로 지정 예고됐다.
또한 농요·속담·문학작품 등 막걸리 관련 문화를 통해 한국문화를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다는 점, 전국에 분포한 양조장을 중심으로 막걸리의 지역별 특색이 뚜렷한 점, 지금도 생산 주체, 연구 기관, 일반 가정 등 다양한 전승 공동체를 통하여 막걸리를 빚는 전통지식이 전승·유지된다는 점에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았다.
다만, 막걸리 빚기는 한반도 전역에서 온 국민이 전승·향유하고 있는 문화라는 점에서 이미 지정된 ‘김치 담그기’, ‘장 담그기’ 등과 같이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는 인정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