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5월 출범하는 구본준그룹의 신설지주회사 LX가 시작부터 녹록치 않은 암초를 만났다.
하지만 LX를 영문명칭으로 사용해온 한국국토정보공사가 LG그룹을 상대로 상표 사용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면서 사명조차 미완의 상태로 출범할 공산이 커졌다.
국토정보공사와 LX 이름 놓고 신경전...법적 문제는 없을듯
당초 LG그룹 측은 지난 2일 특허전문법인을 통해 특허청에 ‘LX’ 상표와 이미지 90건을 출원했다. 뒤이어 3일에는 ‘LX하우시스’ ‘LX MMA’ ‘LX 판토스’ 등 32건의 상표권을 추가 출원했다. 계열분리가 예정된 기업 3곳의 사명에서 기존 ‘LG’를 떼고 ‘LX’를 붙였다는 점에서, LX가 구 고문의 신설지주 그룹명으로 사용될 것이 유력시 됐다. 한국특허정보원 키프리스에 등재된 새로운 CI 이미지는 LG의 옛 사명인 ‘럭키금성’ 시절의 향수를 자극하는 로고다.
문제는 그동안 10년 넘게 영어명 CI를 한국국토정보공사(옛 대한지적공사)가 LX가 쓰고 있다는 점이다. 공사는 국토(Land)와 장소(Location)를 상징하는 L에 전문가(Expert), 탐험가(Explorer)를 X를 조합해 영문 약칭을 사용해왔다.
LG그룹은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지만, 결국 공사 측이 상표권 사용 중단을 요구하며 의의를 제기하고 나섰다. 오는 26일 예정된 LG 주총에서도 사명 사용 안건을 상정하지 말 것을 공식적으로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상표법에 따르면 LX처럼 알파벳 두자로 이뤄진 간단한 표장은 문자 자체만으로는 상표로 등록할 수 없고, 도형이나 독특한 필체 등 이미지를 더해 식별력을 갖춰야 한다. LG 측은 법무팀 등이 상표 출원 전 충분한 검토를 거쳤기에 실제 사용에 있어 법적 문제는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 그럼에도 LX와 협의를 거쳐야 하는 만큼, 매끄러운 출범이 힘들게 됐다.
‘반도체의 꿈’ 실리콘웍스 중심으로 신사업 주목
업계에서는 5월 1일 출범하는 LX그룹에서 가장 눈여겨볼 계열사로 실리콘웍스를 꼽는다.
실리콘웍스는 반도체 개발·제조 기업(팹리스)으로 범LG가 중 유일하게 반도체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향후 LX그룹 계열로 분리된 후 반도체 제품군을 늘려 종합 반도체 설계회사로 도약할 가능성도 크다.
국내 1위 팹리스 업체인 실리콘웍스의 주력 사업은 LCD(액정표시장치)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에 들어가는 DDI(디스플레이구동드라이버)로, 비메모리 분야에서 특화된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3~4년 전부터 꾸준히 성장해온 결과, 주력제품인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수요 증가로 지난해 사상 최초로 매출액 1조원을 돌파했다. 국내 팹리스 기업 중 연 매출이 1조원을 넘은 곳은 실리콘웍스가 유일하다. 매출은 전년대비 34% 증가한 1조1618억원, 영업이익은 99.4% 늘어난 942억원을 기록했다.
실리콘웍스는 구 고문에게도 남다른 의미가 있다. 구 고문은 IMF 위기 후 빅딜로 LG그룹이 반도체 사업을 현대그룹에 넘길 당시 LG반도체 대표이사였다. 못 다한 반도체에 대한 꿈을 LX를 통해 이룰 것으로 예측된다. 일례로 작년 LG 임원 인사에서 손보익 실리콘웍스 대표가 계열분리 대상 기업 중 유일하게 사장으로 승진했다. 신설 그룹에서 구 고문이 반도체 사업에 힘을 싣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IT기기 수요 증가와 DDI 가격 상승으로 실리콘웍스의 연간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55% 증가한 1조461억원을 기록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지주사 계열분리 후 차세대 성장동력을 위해 준비중인 SiC 전력반도체, MCU 사업 진출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전망했다.
물론 신설 지주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계열사는 LG상사로 점쳐진다. 지주사 대표이사를 LG상사 CEO를 역임한 송 고문이 맡는 것도 그런 맥락으로 읽힌다. 실제로 LG상사의 작년 4분기 기준 자산은 총 5조6600억원으로 신설그룹 자산의 전반을 넘어선다.
작년 전체 매출은 11조2826억원, 영업이익은 1598억원을 기록했다. 높은 매출에 비해 낮은 영업이익률이 아쉽지만, 자회사인 판토스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누적 영업이익이 높은 상승률을 보인 점이 고무적이라, 기업공개(IPO) 작업이 추진될 가능성도 있다.
특히 LG상사는 신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오는 24일 주주총회 안건에 신사업 목적 추가를 내용으로 한 정관 변경안을 상정한 상태다. 친환경 사업 추진을 위한 폐기물 집 및 운송, 처리시설 설치 및 운영, 디지털 콘텐츠·플랫폼 등 개발 및 운영, , 의료검사, 분석 및 진단 서비스업 등이다. 업계는 LG상사가 2차전지 핵심소재인 니켈 사업과 함께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다양한 플랫폼·솔루션 사업, 헬스케어 사업 등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을 가속화할 것이란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