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3/16/20210316161209695735.jpg)
16일 서울 서초구 양재 사옥에서 열린 올해 첫 현대자동차그룹 타운홀미팅에서 정의선 회장이 직원들의 사전 질문에 진솔한 답변을 하고 있다.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제공]
정 회장은 16일 서울 서초구 현대차그룹 양재 사옥에서 열린 타운홀미팅에서 이 같은 소신을 임직원들과 공유했다. 정 회장이 임직원들과 타운홀미팅을 통해 소통한 것은 2019년 10월 이후 두 번째다.
이날 행사는 ‘현대차그룹의 미래 이야기’를 주제로 임직원들로부터 받은 사전 질문 중 다수의 공감을 받은 질문들에 대해 정 회장이 직접 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지난해 회장 취임 이후 첫 타운홀미팅이기도 한 이 자리에서 주목받았던 질문 중 하나는 정 회장이 임직원들과 꿈꾸고 싶었던 미래에 관한 것이었다.
정 회장은 이에 대해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주는 것, 가상이 아닌 현실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람들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고객이 우리 제품으로 스마트하게 생활하도록 만들어줘야 한다는 데 책임감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그가 미래 먹거리로서 친환경차,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로보틱스 등을 꼽고 그룹의 혁신을 꾀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이들 사업의 선도자로서 과거와 달리 더 큰 불확실성에 노출된 것에 관련한 우려의 시선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정 회장은 “자율주행, 수소연료전지, UAM, 로보틱스와 같은 부분은 빠르게 투자하고 기술 개발에 나서 선두에 서는 게 중요하다”며 “정확하게 시점을 얘기할 수 없으나 앞으로 성과가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현대차그룹은 올해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의 ‘아이오닉5(현대차)’, ‘EV6(기아)’, 제네시스 기반 모델을 잇달아 출시한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전동화를 기반으로 올해 현대차그룹의 매출이 작년 대비 20%가량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 회장은 다른 기술에 관해서도 “자동차 사업은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일이기 때문에 상용화할 때 더욱 엄격하게 관리해야 한다”면서도 “자율주행의 경우 2023년에는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룹의 미래차 전환을 위한 자금 등 수익성 회복에 대해서도 자신감을 내비쳤다.
정 회장은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해 전체 자동차 산업이 어려웠다”면서도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제품의 다양화와 비용 절감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 지난해 하반기부터 실적 반전을 이룰 수 있게 됐고, 올해도 더 개선될 것”이라고 전했다.
최근 우리 사회에 화두가 되고 있는 ‘적절한 성과 보상’에 대해서도 소신을 내비쳤다.
정 회장은 “임직원분들이 회사에 기여한 데 비해서 존중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부분에 대해서 굉장히 죄송하게 생각한다”며 “성과에 대해서 공정하고 투명하게 평가해서 보상이나 승진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어 “문제가 있다면 빨리 바꿔서 직원들이 정말 소신껏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회장은 마지막으로 조부이자 그룹의 창업주인 고(故) 정주영 명예회장의 경영철학을 인용, 기본에 충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오는 21일은 정 명예회장 20주기다.
그는 “품질·안전·고객 등등 얘기를 많이 하지만 그것이 가장 기본이고, 기본을 잘할 때 우리가 다른 걸 더 잘할 수 있다”며 “명예회장님도 가장 중요하게 지킨 것이 신용이었고, 그것이 유일한 답”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3/16/20210316161248853340.jpg)
16일 서울 서초구 양재 사옥에서 열린 올해 첫 현대자동차그룹 타운홀미팅에서 임직원들의 질문에 답하는 정의선 회장(오른쪽).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