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가짜 홀인원과 나이롱 환자 등 보험사기에 대한 기획조사에 착수한다. 최근 들어 보험사기 적발 건수와 금액이 급증하면서 보험료 인상에 따른 보험소비자 피해가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2/15/20210215091709324028.jpg)
[게티이미지뱅크]
1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 보험사기대응단은 보험사기 취약상품과 부문을 중심으로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금감원 보험사기대응이 진행한 보험사기 취약상품·부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진행된다. 금감원은 전체 사고보험금 대비 보험사기자(2019년 말 기준 적발 인원 9만2538명)가 최근 3년간 수령한 보험금 비율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상품·질병·담보별 취약 상품·부문을 파악했다.
상품별로 보면 운전자보험을 활용한 보험사기의 비중이 6%로 가장 높았다. 이어 화재(3.9%), 정기(3.8%), 여행자(3.3%), 종신(3.0%) 등이 그 뒤를 따랐다.
운전자보험 사기의 경우 공유차량을 이용해 운전하다 일부러 다른 차량과 부딪히는 수법 등이 다수 적발됐다. 골프보험의 경우 가짜 홀인원 증명으로 축하금을 챙겨가는 사례가 여전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 중에서는 자해·화상(8.0%) 비중이 가장 높았고, 운송수단 상해, 약물중독·질식, 외래 상해·사망 등의 순이었다. 보험사기 비중이 높은 담보는 장해(12.1%), 간병·요양(5.4%), 정액입원비(4.9%), 사망(3.1%), 응급치료(2.7%) 등이 꼽혔다.
보험사기 금액별로 보면 실손치료(1477억원)가 가장 많았고, 입원(1285억원), 진단(1240억원), 장해(1088억원) 등이 그 뒤를 따랐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보험사기 취약상품·부문 분석 결과를 보험사와 공유했다"며 "조만간 보험사기 취약상품과 부문에 인력을 대거 투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