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4일 발표한 부동산 대책은 정비사업과 재개발·재건축 등을 통해 2025년까지 83만호 주택공급을 목표로 한다. 그간 주택 정책은 실질적으로 그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국내 건설업에는 나쁘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가고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주택가격은 견조한 상승세를 보이는 동시에 건축수주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올해는 건축수주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주택가격이 강보합 또는 분양시장 호조로 양호한 흐름을 보일 전망이다.
국내 주택시장 리스크 요인으로 정부 부동산 대책과 정책 변화로 지목되는 가운데 이번 ‘2·4 부동산 대책’은 방향성을 명확히 한 셈이다.
코로나19, 국제 유가 하락 여파로 해외사업 환경은 악화됐다. 국내 건설업계가 기댈 수 있는 곳은 주택사업뿐이다. 공공부문은 SOC예산 증가 등으로 공사물량이 증가할 전망이지만 채산성 개선은 기대하기 어렵다.
연간 주택분양 물량이 30만호로 회귀하면서 정비사업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에 있었다. 정비사업은 이번 정부 대책과도 맞물리면서 건설사별 브랜드인지도와 시공능력 등을 바탕으로 한 수주경쟁력이 더욱 부각될 전망이다.
분명 대형건설사들이 유리한 고지에 있지만 해외사업 불확실성이 큰 탓에 안심하긴 어렵다. 결국 건설사들은 주택 시장을 중심으로 한 업황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향후 주택 시장 빈자리를 무엇으로 채울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커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