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완성차 업계 작년 하반기 실적 회복...기아 나홀로 성장

2021-02-08 08:32
  • 글자크기 설정

"기아, 글로벌업체 중 유일하게 작년 3분기까지 매출 증가"

미래차 전환 등으로 기업 부담 가중...인력재편·구조조정

지난해 글로벌 완성차 업계는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았으나, 하반기 북미와 중국을 중심으로 신차 판매량이 증가하며 회복세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아는 작년 3분기 누적 기준으로 주요 완성차 업체 중 유일하게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증가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이 8일 펴낸 산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의 작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을 비교한 결과 현대차·기아의 누적 매출은 1007억 달러(약 113조원)로 전년 동기 대비 0.8% 증가했다.

현대차는 643억 달러로 0.9% 감소했지만, 기아가 364억 달러로 3.9% 증가한 덕분이다.

반면 같은 기간 도요타(-18.3%), 폭스바겐(-10.7%), 르노닛산(-34.2%), GM(-20.2%), 혼다(-19.9%), 포드(-21.5%) 등은 모두 매출액이 감소했다.

도요타의 경우 상반기 판매 실적 감소에도 북미·중국 중심으로 실적을 회복해 작년 3분기 누적 판매량 기준으로 668만4000대를 기록, 폭스바겐(631만1000대)을 제치고 글로벌 판매 1위를 차지했다. 폭스바겐은 상반기 유럽 공장 줄폐쇄의 영향이 컸다.

르노·닛산·미쓰비시는 얼라이언스간 내부 갈등과 닛산 한국시장 철수 등의 악재로 실적과 수익 모두 감소했다. 포드는 미래차 사업 재편이 지연되고, 수익성 개선을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는 중에 코로나의 타격을 받아 적자 전환했다.

연구원은 올해 친환경차와 자율주행, 모빌리티 산업 등 미래차 전환을 위한 투자 확대와 배기가스 배출 규제 본격 시행 등으로 기업의 비용 부담이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봤다. 원가절감과 구조조정 등을 통한 지속적인 수익성 개선이 필요할 전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차는 2025년까지 미래 사업 역량 확보 등에 660조1000억원을 투자하고, 폭스바겐은 2024년까지 150억유로, 포드는 2022년까지 115억달러를 각각 미래차에 투자할 계획이다.

양재완 선임연구원은 "완성차 업계는 이미 공장폐쇄, 인력재편, 구조조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익 방어를 위해 노력 중이나 이러한 노력은 향후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서초구 기아 본사 건물.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