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교현 화학BU장 겸 롯데케미칼 대표는 2일 오전 ‘그린 프로미스(Green Promise) 2030’ 이니셔티브를 도입하고, 친환경 사업 방향성 설정 및 추진과제를 구체화한다고 공표했다. 이어 ‘지구를 지키는 진심 어린 발걸음’의 의미가 담긴 슬로건 ‘이지 스탭 포 그린(Every Step for Green)’을 발표하며 친환경 비즈니스 패러다임을 확대하고 지속가능한 사업 성장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롯데그룹 화학BU 주요 회사(롯데케미칼, 롯데정밀화학, 롯데알미늄 ,롯데비피화학)들은 △친환경사업강화 △자원선순환 확대 △기후위기 대응 △그린생태계 조성 등 4대 핵심과제에 약 5조2000억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확대하고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롯데그룹은 롯데 화학BU 내에 친환경 협의체를 구성해 각 사의 전문 분야에 따른 아이템 발굴과 시너지 제고로 전략적인 운영을 추진한다.
먼저 화학BU내 각 회사의 친환경사업 매출 규모를 20년 대비 약 10배 성장시켜 2030년에는약 6조원 규모로 성장시킨다. 미래성장성, 사업연관성 등을 고려해 친환경 스페셜티 소재 부문을 확대하고 자원선순환과 연계한 리싸이클(Recycle) 소재 사업도 강화한다. 또 글로벌 고객사들의 재생소재 사용 증가 및 각종 환경규제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PCR(Post Consumer Recycled) 소재인 rPET, rPC, rPP, rABS 등의 사용을 확대한다.
롯데케미칼은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 증가 없는 탄소중립성장을 첫 번째로 추진한다. 2030년에도 2019년 수준의 배출량 수준을 유지할 방침이다. 제품 생산 중에 발생되는 폐기물, 대기오염물질, 폐수 등의 환경 영향 물질 50% 저감 목표로 폐기물 발생량 관리시스템을 고도화하고 노후 방지시설 최적화와 공정개선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김 대표는 “롯데케미칼을 포함한 화학BU내 모든 회사들은 2021년을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 원년으로 삼아 지속 가능한 친환경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하고 핵심과제를 펼쳐나갈 것”이라며 “고객, 주주, 사회와 적극 소통하고 공감하며 각 기업의 미래가치 향상이 사회의 긍정적 가치 창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천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2/02/20210202091146518816.jpg)
김교현 화학BU장 겸 롯데케미칼 대표(왼쪽 세번째)와 김연섭 롯데케미칼 ESG경영본부장(왼쪽 두번째)이 롯데 화학BU의 친환경 목표인 ‘GREEN PROMISE 2030’ 이니셔티브를 선언하며 기념사진을 촬영했다.[사진=롯데케미칼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