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재능대에서 13일 온라인 LINC+ 사업 성과공유회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고 14일 전했다.
LINC+(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 사업 성과공유회는 LINC+ 사업 운영 결과와 성과를 공유하기 위한 행사로 올해는 COVID-19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지침을 준수하고자 실시간 온라인 행사로 치뤄졌다.
인천재능대학교의 LINC+ 사업은 3S(Smart, Service, Software) 산업을 선도할 GLOCAL+ 창의적 현장형·맞춤형 인재 양성을 미션으로 2017년부터 시작되었으며, 현재 9개 학과에서 10개 협약반을 운영 중이다.
협약반으로는 인공지능정보통신과, 인공지능전자과, 인공지능컴퓨터정보과가 융합하여 운영 중인 SW품질관리융합반, 인공지능전자과, 인공지능정보통신과가 참여하는 스마트제조산업선도반, 인공지능컴퓨터정보과와 인공지능정보통신과로 이루어진 스마트미디어융합반이 있고, 호텔외식조리과가 운영하는 WCCA인재반 및 외식산업선도반, 바이오코스메틱과의 화장품산업선도반, 건강관리과의 에스테틱산업선도반, 뷰티아트과의 뷰티스타일전문가반, 마케팅경영과의 GLB특별반, 그리고 송도바이오과가 참여하는 바이오A&QC선도반이 있다.
이번 성과공유회에는 지난 1년 간 협약반 학생들이 배운 지식과 기술을 총동원한 캡스톤디자인 작품 66개가 전시됐다. 그 중 사전 심사를 거친 37개의 우수 작품 제작팀들은 협약반별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 등을 수상했다.
이날 행사에는 각종 프로그램 및 경진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낸 학생들의 작품과 LINC+ 사업과 성과를 홍보하는 홍보관도 설치되었다.
지난해 함께한 협약 기업에는 소속감 고취를 위해 업체명이 들어간 LINC+ 사업 협약 산업체 현판을 전달해 감사의 뜻을 전했다.
특히 이번 성과공유회는 보통 2~3일의 기간 동안 대학의 성과와 학생들의 캡스톤디자인 작품을 전시하는 1회성 행사와는 달리 별도의 성과공유 홈페이지도 만들어 성과공유회 이후에도 지속적인 성과 공유 및 홍보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LINC+사업단 관계자는 전했다.
홈페이지에는 LINC+ 사업단 소개와 10개의 LINC+ 협약반 소개 내용 등으로 구성되며, 학생들의 작품을 볼 수 있는 유튜브 링크도 게재될 예정이다.
그 외에도 인천재능대학교 LINC+ 사업단이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인 현장견학, 현장실습, 맞춤형 취업강화 프로그램 등 10여개의 자체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확인이 가능하다. 홈페이지는 현재 제작 중이며, 2월에 홈페이지 오픈을 앞두고 있다.
인천재능대학교는 지난 1년 간의 성과와 개선사항 등을 두루 살펴 앞으로도 80여개의 협약 산업체와 더욱 긴밀한 협력을 통해 종합적인 산학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인천재능대학교 권대봉 총장은 “협약 산업체와 대학과 학생이 보다 더 긴밀한 협력 및 조력 체계를 갖춰 LINC+ 사업의 마지막 단추를 잘 끼우고 그 성과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게 대학도 가지고 있는 모든 역량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우리 대학과 산업체가 함께 성장해 인천재능대학교는 AI & Bio Frontier 대학으로, 협약 산업체는 우리 대학에서 얻은 지식과 인력으로 업계를 대표하는 선두주자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