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레벨업 3000] 전기차·반도체 등 대형주가 이끈 증시

2021-01-06 19:39
  • 글자크기 설정

[사진=한국거래소 제공]


사상 최초의 '코스피 3000' 시대 개막은 반도체와 2차전지 등 대형주들이 이끌었다. 개인투자자들이 막대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우량주들을 쓸어담은 결과,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상승하며 지수가 급등했다. 증권가에서는 견고해진 시총 상위 종목들의 구성, 증시로 쏠리는 자금 때문에 과거와 같은 '급등 이후 폭락' 현상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증권사들의 올해 코스피 예상범위 상단선도 3000포인트 이상으로 상향 조정되고 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투자자들은 유가증권시장에서 47조4907억원을 순매수했다. 이 기간 가장 많이 산 주식은 삼성전자(9조5952억원)로 나타났다. 개인투자자들은 코로나19 확산 초기 지수가 급락하자 삼성전자를 꾸준히 사들였다. 이외에도 순매수 상위 종목 대부분을 시총 상위권의 대형주들이 차지했다. 상장지수펀드(ETF)를 제외하면 현대차(2조5990억원), 네이버(2조525억원), 카카오(1조2172억원), SK(1조1865억원), SK하이닉스(8719억원) 등이 이름을 올렸다.
올해 역시 마찬가지 흐름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반도체와 전기차 관련 기업들의 주가는 최근 급등세를 기록하고 있다. 작년 연말 8만원 고지를 밟은 삼성전자는 6일 장 초반 8만4500원까지 올랐다. SK하이닉스 역시 이날 1%대 강세를 보이며 52주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증권가에서는 올해 반도체 업황 회복으로 두 회사의 주가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에 대한 증권사들의 목표주가 평균치는 8만9488원으로, 지난달 초(7만9217원) 대비 약 13% 상승했다. 같은 기간 SK하이닉스 목표주가 역시 19%가량 올랐다.

전기차 관련 기업들도 친환경 정책 기조의 확대에 힘입어 지수 상승을 이끌고 있다. 현대차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에 기반한 신차 출시 일정을 공개한 이후 주가가 20만원 선에 안착했다. 계열 부품업체인 현대모비스 역시 최근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전기차에 필수적인 2차전지를 생산하는 LG화학, 삼성SDI 역시 지난달 이후 주가가 각각 10%, 25% 올랐다. SK이노베이션은 연초 이후에만 13%가량 상승하며 주가가 20만원 중반선에 도달했다.

금융투자업계는 이들 기업의 선전을 보다 큰 시각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오랜 기간 우리 증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 반도체에 더해 전기차, 2차전지는 물론 바이오, 정보통신(IT) 등이 추가되며 과거와는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의 '밀도'가 달라졌다는 것이다. 과거 증시를 대표하던 반도체, 조선, 철강, 화학 업종은 경기와 업황에 따라 주가 변동이 컸다. 최근 급부상한 기업들은 이와 달리 경기순환보다는 잠재력을 인정받아 시총 상위권에 올랐다.

최석원 SK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한국 증시가 저평가 받았던 주요 요인 중 하나는 경기민감 업종에 속하는 기업들이 시총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었다는 것"이라며 "최근 부상한 신산업 관련 기업들은 경기 순환의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도 기술 발전에 따른 차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신뢰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최 센터장은 "향후 금리정책의 변화와 글로벌 증시 변동에 따라 지수가 내려갈 수 있지만 2000~2500선이 아닌 2800~3200 수준으로 지수의 레벨 자체가 과거와는 달라질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대부분의 증권사들도 현재 지수 고점 논란이 있지만 폭락이 예상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견을 내고 있다. 실제 증권사들의 올해 코스피 예상범위 상단선도 3000포인트에서 그 이상으로 상향 조정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올해 코스피 지수 상단으로 3100포인트를, KTB투자증권은 3120포인트를 제시했다. 신한금융투자와 삼성증권도 상단을 3300포인트로 올린 상태다. 단기 과열을 우려하는 경우도 흔히 말하는 '버블(거품)'로 판단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정용택 IBK투자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경제 펀더멘털에 비해 주가 상승 속도가 지나치게 빠른 만큼 증시가 단기 과열 양상을 보인다고 판단한다"며 "다만 2000년대 초반의 IT버블 당시처럼 지수 상승 이후 급락장이 펼쳐질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