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옥동 신한은행장이 4일 "디지털전환(DT) 성공 여부에 조직의 명운이 달려있다"고 밝혔다.
진 행장은 이날 신년사를 통해 "지금 당장 서둘러야 하는 것은 DT"라며 이 같이 강조했다.
그는 "데이터와 인공지능(AI) 역량개발에 자원을 집중하고, 인재 영입의 문턱을 더 낮추겠다. 미래 역량 육성 계획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첨단 기술을 활용하는 수준을 넘어 디지털에 최적화된 제도와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짚었다.
이어 진 행장은 "신한금융그룹의 개방형 디지털 생태계 구축에도 주도적으로 함께하겠다"며 "'신한'이라는 브랜드가 온·오프라인을 아울러 시장을 압도하는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과감한 도전을 이어가자"고 당부했다.
금융업의 본원적 경쟁력 강화 역시 진 행장이 꼽은 과제다. 그는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맞추기 위해 마케팅 기능을 강화하고, 개인화된 상담 지원에 힘을 쏟겠다"며 "자산관리(WM), 기업, IB, 글로벌 등 핵심 비즈니스의 시장 지위를 굳건히 하기 위한 각 사업그룹의 노력도 당부드린다"고 했다.
그는 "위기에 대한 예측과 대비 또한 중요한 시점이다. 과거 '건전성·리스크관리 명가'의 명성을 반드시 되찾아야 한다"며 "유연하고 수평적인 문화 위에 금융의 기본을 튼튼히 다져 어떤 위기에도 기회를 찾을 수 있는 '회복탄력성(Resilience)'을 갖추자"고 주문했다.
끝으로 진 행장은 '함께하는 성장'을 강조했다. 그는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세계적 팬데믹 앞에 '상생의 가치'는 더욱 커지고 있다"며 "모든 영업과 마케팅은 고객·사회와의 두터운 신뢰가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진 행장은 금융소비자보호법을 비롯한 제도적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는 한편 ESG와 혁신금융 지원 등 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진 행장은 이날 신년사를 통해 "지금 당장 서둘러야 하는 것은 DT"라며 이 같이 강조했다.
그는 "데이터와 인공지능(AI) 역량개발에 자원을 집중하고, 인재 영입의 문턱을 더 낮추겠다. 미래 역량 육성 계획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첨단 기술을 활용하는 수준을 넘어 디지털에 최적화된 제도와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짚었다.
이어 진 행장은 "신한금융그룹의 개방형 디지털 생태계 구축에도 주도적으로 함께하겠다"며 "'신한'이라는 브랜드가 온·오프라인을 아울러 시장을 압도하는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과감한 도전을 이어가자"고 당부했다.
그는 "위기에 대한 예측과 대비 또한 중요한 시점이다. 과거 '건전성·리스크관리 명가'의 명성을 반드시 되찾아야 한다"며 "유연하고 수평적인 문화 위에 금융의 기본을 튼튼히 다져 어떤 위기에도 기회를 찾을 수 있는 '회복탄력성(Resilience)'을 갖추자"고 주문했다.
끝으로 진 행장은 '함께하는 성장'을 강조했다. 그는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세계적 팬데믹 앞에 '상생의 가치'는 더욱 커지고 있다"며 "모든 영업과 마케팅은 고객·사회와의 두터운 신뢰가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진 행장은 금융소비자보호법을 비롯한 제도적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는 한편 ESG와 혁신금융 지원 등 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1/04/20210104124740800324.jpg)
진옥동 신한은행장[사진=신한은행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