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행복페이, 소상공인 힘! 대구경제 힘!

2020-12-30 18:46
  • 글자크기 설정

1월 1일부터 발행 규모 1조 원으로 확대 추진

이미지 확대
지난 6월 대구에서 발행한 대구행복페이 카드. [사진=대구시 제공]

지난 6월 대구에서 발행한 대구행복페이 카드. [사진=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올해 3천억 원의 발행 한도 조기소진으로 중단되었던 대구행복페이 할인충전을 2021년 1월 1일부터 재개한다. 할인율은 10% 적용이 유지된다. 개인별 월 최대 5만 원까지 할인 한도가 적용된다.

대구시는 지역 자금의 역외유출을 막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대구지역에서만 사용 가능한 모바일앱 기반 선불카드인 ‘대구행복페이’ 판매를 2021년 1월 1일부터 재개한다. 2021년 총 발행목표는 1조 원이다.
대구시 경제정책과 성임택 과장은 “올해 대구행복페이 총 발행 규모는 일반발행 및 정책발행을 합해 총 3507억 원에 이르고 판매액 대비 이용률은 12월 말 현재 97%인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음식점, 슈퍼마켓, 병·의원, 학원 등 민생과 골목상권 중심의 소비로 연결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 것으로 파악됐다.”라고 밝혔다.

대구경북연구원 관계자는 “올해 대구행복페이 발행에 따른 성과분석에 따르면,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 유발효과 3582억 원, 부가가치효과 1870억 원, 취업 유발효과 5811명인 것으로 나타난다.”라고 말했다.

대구행복페이는 내년 1월 1일부터 대구행복페이 모바일앱(IM샵)을 통해 기존에 소지한 카드로 충전 가능하며, 1월 4일부터는 대구시 소재 DGB대구은행 전 영업점에서 만 14세 이상이면 주소지와 상관없이 누구나 신규 구매 및 충전을 할 수 있다.

이용자의 편의 기능도 추가됐다. 대구행복페이 모바일앱(IM샵)을 통해 승인내역에 대한 무료 푸쉬(PUSH)알림 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이며, 앱을 통한 모바일 결제 기능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올해 처음 발행된 대구행복페이는 2020년 대구시정 베스트 10에 선정될 만큼 시민들에게 인기가 있었다”라며, “내년 1조 원 발행으로 어려움을 겪는 시민과 소상공인에게 희망이 되고 지역경제에 활력제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내년도 지역사랑 상품권 발행 규모를 15조 원으로 확대하고 할인요율 10%가 가능하도록 국비 지원 계획을 밝혔다. 이에 대구시는 코로나19로 위축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상품권 안정적 운영을 위해 내년도 발행 규모를 올해 3000억 원보다 3배 이상 증가한 1조 원으로 상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
code:038G
device:
close_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