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사진=특허청]](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2/30/20201230101452510873.jpg)
[사진=특허청]
산업재산권 진단기관이란 특허 조사·분석을 통해 연구개발 전략, 우수특허 창출전략 등 제공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을 말한다.
특허청은 지난 2001년부터 산업재산권 진단기관 제도를 운영해왔다. 특히 산업재산권 진단기관 지정 확대를 위해 지난달 '산업재산권 진단기관 지정 및 운영에 관한 규정'을 특허청 고시로 제정한 바 있다.
이번에 지정한 산업재산권 진단기관은 앞으로 산·학·연을 대상으로 특허 등 산업재산권에 대한 동향조사와 분석을 실시해 연구개발 전략, 우수특허 창출전략 등을 제공하는 업무를 맡는다. 기업과 대학, 공공연구소 등은 앞으로 연구개발 수행 과정에서 특허 조사·분석이 필요한 경우 산업재산권 진단기관을 활용할 수 있다.
또 중소기업은 연구개발 효율성·경쟁력 강화를 위해 내년 1월부터 산업재산권 진단기관을 통해 지출된 특허 조사·분석 비용에 대해 세액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특허청은 내년부터 매년 민간의 우수한 특허 조사‧분석 기관들을 산업재산권 진단기관으로 지정하고 육성할 계획이다.
박호형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앞으로 역량 있는 민간 특허 조사‧분석 기관의 산업재산권 진단기관 지정 확대를 통해 산‧학‧연의 연구개발 효율성을 제고하고 지식재산 서비스 산업 육성을 도모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