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사태로 사회 전반적으로 침체에 빠진 가운데, 사회적 거리두기로 대면 접촉까지 줄어들면서 사회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이에 더해 복지 서비스 지원을 받지 못하는 복지 사각지대에 처한 이들이 여전히 있어 정부의 숙제로 떠올랐다.
이미지 확대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2/30/20201230001121179324.jpg)
지난 9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인근에서 노인 등에게 무료급식을 해온 한 시설 입구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로 인해 운영을 중단한다는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29일 국가통계포털과 복지로 홈페이지에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국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차상위계층·한부모가족을 합한 사회취약계층은 지난 11월 현재 310만3883명에 달한다. 지난해 말(282만4830명)과 비교해 올해 코로나19의 여파로 27만9053명(9.8%) 늘어났다.
아동권리보장원이 지난 5월 저소득가정 양육자 375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41.5%(1542명)가 코로나19 확산으로 겪고 있는 문제 중 1순위로 '경제적 어려움'을 꼽았다. 코로나19 사태 발 경기 침체로 취약계층의 경제난이 더 심화한 것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접수된 서울지역 아동학대 신고는 2768건에 달한다. 올해 9월까지 월평균 307.6건 발생해 지난해(279.4건) 수준을 이미 넘어섰다.
비정부기구 세이브더칠드런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9월 세계에서 코로나19로 어른들이 실직하고 학교가 문을 닫으면서 아동학대가 2배가량 늘었다.
이외에도 '방배동 모자 사건', '인천 형제 화재사건' 등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의 비극적인 사건이 올해에도 어김없이 발생했다. 정부는 이런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취약계층 전수조사, 위기가구 발굴대책, 모니터링 상담 강화 등 대책을 내놓았지만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기존의 복지 서비스는 대부분 복지관과 같은 일정 장소에 모여 대면서비스를 받는 형식으로 진행돼 왔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복지관과 같은 곳은 집합 금지 조치가 내려지고, 서비스도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전환되면서 적절한 복지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졌다. 이에 코로나19 사태로 더욱 넓어진 복지 사각지대를 어떻게 줄일지가 다가오는 2021년 정부의 큰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