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2/29/20201229103014632659.jpg)
조립 중인 누리호 모습.[사진=과기정통부]
약 2조원이 투입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내년 10월 드디어 하늘을 가른다.
발사 시기는 당초 계획보다 8개월 가량 미뤄졌다. 1단부 조립이 복잡하고 관련 부품의 납품이 늦어진 탓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제18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서면으로 개최하고 ‘한국형발사체개발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안)’과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개발사업 계획(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먼저 한국형발사체는 발사 성공률을 제고하고 안정적인 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1차 발사는 내년 10월, 2차 발사는 2022년 5월에 가능할 것으로 도출됐다.
당초 1차 발사는 내년 2월, 2차 발사는 10월이었는데, 발사 시기를 늦췄다.
일정 조정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것은 발사체의 1단부 개발이다.
1단부는 발사체에서 가장 큰 추력을 내기 위해 75톤급 엔진 4기가 클러스터링된 구조로 설계돼 체계복잡성이 높다. 이로 인해 인증모델 개발까지 분해와 재조립을 반복하는 과정을 거쳐야 했다.
1단부 조립복잡성으로 인한 조립 절차 수정 및 관련 부품 납품 지연 등도 추가적인 작업 시간을 필요로 했다.
이 밖에도 한국형발사체의 전기체를 구성하기 위한 단간 조립, 극저온 환경에서 기체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WDR을 실행하기 위해 추가적인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됐기 때문이다.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은 2027년 발사를 목표로 개발에 착수한다. 개발 사업은 내년부터 시작한다. 이 위성은 천리안위성 1호가 사용하는 Ka대역 궤도 주파수를 이어받아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 위성은 향후 수재해 감시, 해경활동 지원, 재난지역 긴급통신 지원 등 재난·안전 대응 지원과 GPS 위치보정신호 제공 및 미래 위성통신 기술 테스트베드 역할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수재해 대응을 위한 실시간 산·강·댐·하천 감시와 수문 관리 등 안정적인 광범위 감시와 영상정보 수집체계 구축, 해양경찰청은 다양한 무인·첨단화 기술장비 도입 및 활용을 위한 통신기반을 갖춰 해상방위 및 수색구조 활동 임무 역량을 강화한다.
국토교통부는 ‘한국형 정밀 GPS 위치보정시스템(KASS)’을 구축 중이고, 과기정통부는 위성통신 관련 미래선도기술 개발 및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로 이용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향후 발사체, 위성, 달탐사 등 주요 체계개발 사업 추진 시 일정지연이 최소화되도록 사업 관리를 개선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표준화된 일정관리 체계를 마련해 연구현장의 적용을 의무화하며, 사업별 일정관리자를 지정하고 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평가를 절차화 할 것”이라며 “주관기관의 사업 추진현황을 정부와 정기적으로 공유하며, 위험요소 발생 시 즉시 보고를 의무화하도록 해 향후 추가적인 일정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