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1조 달러 부활 전사들 ⑤전기차] 완성차 업계, 미래차 전환 '액셀'...정부도 지원사격

2020-12-18 05:00
  • 글자크기 설정

현대차그룹, 'E-GMP' 탑재한 전기차 출시

전기차 수출 증가...부품업계 동반생존 모색

정부, 초급속충전기 확대...인프라 구축 지원


국내 완성차 업계가 전기차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12월 유럽연합(EU)을 시작으로 9월 중국, 10월 일본과 한국 정부까지 주요 국가들이 속속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탄소중립을 위해 주요 국가들이 내연기관 차량의 판매금지를 앞당기고 있는 만큼, 국내 완성차 업계에 친환경차로의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는 평가다.

◆2030년까지 연평균 20% 성장
17일 에너지 시장조사업체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20% 이상(판매대수 기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서는 2030년대 후반쯤이면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판매량이 내연기관차보다 많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규제가 강화되면서 이미 네덜란드·노르웨이는 2025년까지, 중국·독일·이스라엘 등은 2030년까지 내연기관 신차 판매를 중단하기로 한 상황이다. 미국 역시 주 정부 차원에서 환경규제 강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일례로 캘리포니아주는 2035년부터 신차의 엔진차량 판매 전면 금지를 발표했다.

이에 국내 완성차 업계도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탑재한 전기차 생산을 계획하는 등 시장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지난 2일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를 최초 공개했다. 현대차는 내년 상반기 E-GMP를 기반으로 한 전기차 '아이오닉5'를 선보이고, 라인업 확대에 나선다.

기아차는 CV(프로젝트명), 제네시스도 JW(프로젝트명)와 eG80 등 E-GMP 기반 전기차를 출시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2040년까지 세계 주요 시장의 전 모델을 전기차로 바꾼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2040년 글로벌 전기차 시장점유율 8~10%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쌍용차도 내년 상반기 중 브랜드 최초의 순수전기차 'E100'을 공개한다. 르노삼성차, 한국지엠(GM) 등도 전기차 출시 모델을 확대하고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정부 지원사격··· 인프라 구축 박차

정부도 국내 완성차 업계의 전기차 전환 및 수출을 지원사격한다. 정부는 5년 후 전기차 46만대, 수소차 7만대를 수출해 완성차 수출(240만대)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현재 3%에서 20%로 올리겠다는 비전을 지난 10월 제시했다.

국내 전기차 수출도 증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11월 자동차산업 동향'을 보면 지난달 국산 전기차 수출대수는 1만1653대로 지난해 같은달 대비 22.8% 증가했다. 40개월 연속 증가세다. 특히 현대·기아차의 '코나'와 '니로' 전기차 수출량이 각각 20.1%, 113.8% 늘었다.

정부는 국내 전기차 보급에도 박차를 가한다. 정부는 17일 '2021년 경제정책 방향'을 발표하고, 내년 전기차 보급을 대폭 늘리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정부는 올해 국내 전기차가 누적 13만4000여대 보급된 것으로 집계했다. 내년 10만대를 추가 보급해 누적 23만대로 늘리고, 2025년까지 113만대로 대중화시킨다는 계획이다.

전기차 보급의 최대 걸림돌로 꼽히는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에도 힘을 쏟는다. 환경부는 내년부터 그간 설치된 급속충전기(100kW급) 대비 3배 더 빨리 충전이 가능한 350kW급 초급속충전기를 전국 주요 고속도로 휴게소 등에 민관합동으로 70기 이상 구축한다. 기존 급속충전기는 고속도로 휴게소 등에 1600기, 완속 충전기는 주거지·직장 등을 중심으로 8000기 이상 보급한다. 이를 위해 내년 예산 923억원을 투입한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완성차 업계 지원, 인프라 구축 등과 더불어 국내 부품회사들의 전기차 전환 역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배터리, 전기모터, 열 제어 부품 등을 만드는 부품 업체들이 함께 성장해야 글로벌 시장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부품업체의 체계적인 미래차 전환 전략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라며 "부품업체를 대상으로 현실적인 미래차 전환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